제보영상으로 본 이태원 '핼러윈 참사'…인명피해 왜 컸나<br />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핼러윈 이태원 압사 참사 소식 계속 이어가겠습니다. 무엇이 사태를 키웠는지, 사고를 막을 순 없었는지 종합적으로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보도국 정다예 기자 나와있습니다. 안녕하세요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사고 경위부터 다시 짚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사고가 발생한 건 어제 오후 10시 반쯤입니다.<br /><br />코로나 이후 첫 '노 마스크' 핼러윈을 맞이해 서울 용산구 이태원동을 찾은 사람들이 대규모 압사 사고를 당했습니다.<br /><br />한두 명이 쓰러지기 시작하더니, 골목 전체를 꽉 채운 사람들이 도미노처럼 무너진 것으로 파악됐고요.<br /><br />이번 참사로 지금까지 153명이 사망했고, 103명이 다쳤습니다. 사상자는 더 늘어날 가능성도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저희 연합뉴스TV로 제보 영상도 계속해서 들어오고 있죠, 영상 보면서 당시 급박했던 현장 다시 짚어보겠습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먼저 압사 사고 직전 이태원 일대부터 보겠습니다.<br /><br />골목골목 수많은 인파가 갇힌 모습인데요. 쿵쾅거리는 음악소리와 함께 사람들이 물결처럼 흔들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 보시는 이곳이 참사가 발생한 골목인데요.<br /><br />밤 10시 반쯤 사람들이 순식간에 도미노처럼 쓰러졌고, 쓰러진 사람들은 내리막길 아래쪽에 겹겹이 쌓였습니다.<br /><br />경찰이 깔린 사람을 끌어내려 힘을 줘보지만 역부족이고요<br /><br />비명과 절규가 뒤섞인, 그야말로 아비규환의 현장이 생생하게 담겨있습니다.<br /><br />경찰과 시민들이 뒤로 가라고 외쳐보지만 꽉 막혀 이리도 저리도 움직일 수 없는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자정을 넘어서도 현장은 계속 아수라장이었습니다.<br /><br />소방대원과 경찰이 거리에 널브러져있는 사람들에게 심폐소생술을 하는 급박한 장면도 계속해서 들어오고 있고요, 일반 시민들도 가세해 필사적으로 심폐소생술에 나선 모습입니다.<br /><br />이후 영상을 보시면 경찰과 시민들이 희생자들을 함께 병원으로 옮기는 급박한 모습까지 확인할 수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렇게까지 인명피해가 커진 이유가 있나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우선 좁은 골목에 수많은 인파가 한꺼번에 몰린 게 가장 큽니다.<br /><br />참사현장은 폭이 4m 정도밖에 안 되는 좁은 길이었고요,<br /><br />큰 길 두 개 사이에 위치해, 아래로 내려오는 사람들과 위로 올라가려는 사람들이 맞닥뜨리는, 밀집할 수밖에 없는 자리였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지형 자체가 가파른 내리막길인 탓에 인명피해는 더 커진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압사 사고가 발생하면 신속한 심폐소생술로 대응하는 것이 중요한데요, 당시 무단 주차 등으로 도로가 복잡했던 탓에 구급대원도 곧장 진입하는 데 어려움을 겪었던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시민들의 실종 신고도 계속 이어지고 있는데, 사망자 신원확인은 얼마나 됐나요?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경찰은 일단 오늘(30일) 오전 사망자 153명의 지문 채취를 모두 마치고 모두 140명의 신원을 확인했다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연락이 끊긴 사람들은 애타는 마음일텐데요.<br /><br />오늘 오후 2시까지 3,500건 넘는 참사 관련 실종 신고가 접수됐고요.<br /><br />사고가 발생한 이태원역에서 도보로 15분 거리인 한남동주민센터에선 오전에만 2,600건 접수가 이뤄졌습니다.<br /><br />인근 병원에도 실종자를 찾는 가족과 지인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고요, 센터 직원들은 가족들에게 소방 담당부서나 병원측 연락처를 우선 전해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실종신고는 다산콜센터 120으로도 가능합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사고 수사 상황도 전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경찰은 사고 발생 직후 전담 수사본부를 구성해 구체적인 사고 원인 규명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오늘 오후 사고 현장이 상당 부분 수습되면서 본격 수사에 착수했는데요.<br /><br />경찰은 해밀톤 호텔 뒤편 골목길에 설치된 CCTV 영상과 SNS에 올라온 사고 당시 영상을 대거 확보해 사고 경위를 세밀하게 확인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현장에선 일대 업소에서 마약 성분이 들어있는 사탕이 돌았다는 등의 소문이 나왔는데요.<br /><br />이런 추정을 뒷받침할 만한 근거는 발견되지 않은 상태입니다.<br /><br />참사와 관련한 마약 신고 역시 접수되지 않았다고 경찰은 전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정부도 24시간 비상대응 태세에 들어갔죠. 대응상황도 전해주시죠.<br /><br />네, 정부는 "국정 최우선 순위를 사고 수습과 후속 조치에 두겠다"며 비상대응에 나섰습니다.<br /><br />11월 5일까지를 국가애도기간으로 정하고, 참사가 발생한 용산구를 특별재난지역으로 선포했습니다.<br /><br />서울시와 용산구는 서울광장과 이태원 광장에 각각 합동분향소를 마련할 예정이고요. 전국 각 지역도 나서 예정된 축제와 행사를 줄줄이 취소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세계 각국의 대형 압사 사고가 다시 주목받고 있죠. 해외에서도 이런 사례가 많이 있나요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국내에서 압사사고는 드문 일이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해외 사례로는 지난 1일 인도네시아 프로축구 경기에서 관중 난동으로 125명이 숨지고 수백 명이 다치는 참사가 발생했습니다.<br /><br />홈팀이 패하자 관중들이 경기장으로 난입했고, 경찰이 최루탄을 쏘며 진압에 나서자 관중이 한꺼번에 출구로 몰리며 대형 압사 사고로 이어진 겁니다.<br /><br />지난 2015년에는 사우디아라비아의 이슬람 성지 메카에서 성지순례 도중 압사사고가 발생해 최소 2천명 넘게 숨졌습니다.<br /><br />사우디 정부는 사망자가 769명이라고 발표했지만 각국 정부의 사상자 발표치를 취합한 결과는 달랐습니다.<br /><br />국내에서도 2005년 경북 상주시민운동장에서 가요 콘서트를 보기 위해 5천여명의 관중이 출입문 한 곳으로 몰리면서 11명이 숨지고 160명 넘게 부상을 당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금까지 보도국 정다예 기자였습니다. 감사합니다.<br /><br />#이태원 #핼러윈 #압사사고 # 비상대응태세 #국가애도기간 #특별재난지역선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