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전문가 모시고 한번 더 이번 참사 돌아보겠습니다.<br> <br>함은구 한국 열린 사이버대 소방방재안전학과 교수가 나와 계십니다. <br><br>[질문1]먼저 박건영 기자. 이번 이태원 참사, 사상자 규모만 놓고 봐도 참담할 정돕니다. 외신을 보니까 21세기에 일어난 전세계 압사 사고 중에서 역대 9번째 규모라는 얘기도 나오는데, 맞습니까? <br><br>네. 미국 워싱턴포스트는 이태원 참사를 21세기에 발생한 군중 압사 사고 중 피해규모가 9번째로 크다고 보도했습니다. <br> <br>가장 많은 사망자를 낸 건, 2005년 8월, 이라크 '바그다드 다리'를 건너다 960명이 압사당한 사건입니다. <br> <br>군중이 몰려있는데 자살 폭탄 테러가 예상된다는 소문이 돌자 당황한 사람들이 혼란에 빠져 사망한 겁니다.<br> <br>2015년 9월 사우디아라비아에서는 성지순례를 왔던 사람들이 몰리며 압사하는 인명 사고가 났습니다. <br> <br>당시 외신은 실제 사망자 수는 더 많을 걸로 보기도 했습니다.<br> <br>어젯밤 이태원 압사 사건은 지금까지 집계를 보면 153명이 사망하고, 부상자는 중상 24명, 경상 79명입니다.<br><br>안타까운 건, 위중한 상태로 심폐소생술을 받으며 병원에 온 중환자도 많아서 사상자 수가 늘어날 가능성을 배제할 수 없단 건데요. <br> <br>최근에는 이달 1일이었죠.<br><br>인도네시아 축구장에서 경기장에 관중들이 난입했고, 이를 저지하려고 경찰이 최루탄을 쐈는데요.<br><br>이를 피해 달아나던 군중 132명이 숨지고 300명 넘게 다친 사건도 있었습니다. <br> <br>[질문2]함 교수님. 참사가 일어난 지난 밤으로 잠깐 가보면요. 처음에는 이렇게까지 큰 사건이 일어났는지도 모르는 상태로 토요일이 지나고 있었단 말이죠. 첫 보도가 나오고 나서 사망자가 기하 급수적으로 늘어났습니다. 이렇게까지 큰 참사로 번진 이유는 뭐라고 봐야 합니까? <br><br>[질문3]현장에 있던 목격자들이 공통적으로 얘기하는 건요. 뒤쪽에서 산사태가 난 것처럼 계속 앞으로. 떠밀렸다는 겁니다. 혹시 뒤쪽으로 상황을 전파하는 게 불가능했을까요? <br> <br>[질문4]그럼 이렇게 여쭤보겠습니다. 혹시 참사 당시 그곳에 갇혀있던 시민들이 더 할 수 있었던 게 있었겠습니까? 갇혀있는 시민들이 도와달라고 하자 주변에서도 구하기 위해 나섰다면서요. <br> <br>혼자 힘으론 도저히 빠져 나올 수 없는 상황이었다는 게 목격자들의 공통된 진술인데요. <br> <br>인근 상인들이나 넘어지지 않은 시민들이 쓰러져 있는 사람들을 구조하려고 손을 걷고 나서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소방대원들도 신고 접수 직후 현장에는 금세 도착했는데.<br><br>워낙 좁은 공간에 다수의 사상자가 겹겹이 쓰러져 있는 상황이라 시민들이 구급대원들을 도와 쓰러진 사람들의 팔이나 몸을 잡고 빼내려는 노력을 하기도 했고요. <br> <br>주변 식당에서도 테이블을 밀어놓고 의식을 잃고 호흡이 불안한 사람들을 눕힐 공간을 마련해 심폐소생술을 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[질문5]당시 상황을 보시면 구조대가 앞쪽으로 접근을 하는데요. 이미 깔려버린 사람들을 빼내기가 쉽지가 않아 보입니다. 뒤쪽으로 돌아서 접근한다거나 하는 방식을 취했으면 어땠을까, 안타깝다는 분들이 많은데요? <br> <br>[질문6]현재 수습 상황도 조금 더 짚어보겠습니다. 사상자들의 신원 정부 합동브리핑에선 90% 확인됐다고 했는데, 지금은 어떻습니까? <br> <br>조금 전 사망자 153명 중 외국인 25명을 포함해 150명의 신원이 확인됐다는 소식이 들어왔는데요. <br> <br>사망자의 지문이나 소지품을 활용해 신원을 확인한 걸로 전해집니다.<br><br>신원이 파악된 사망자는 관할 경찰서에서 유족들에게 통보하는 절차가 진행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[질문7]아직도 실종자 신고, 늘고 있다면서요?<br> <br>네. 오후 5시 기준, 한남동 주민센터와 다산콜센터 등에 접수된 실종자 신고는 4000건이 넘습니다.<br> <br>서울 용산구 한남동 주민센터에는 직접 실종자 방문 접수를 하려고 온 가족과 친구들의 발길도 잇따르고 있다는데요. <br> <br>실종자 이름과 연락처, 인상착의 등을 알려놓고 경찰과 병원에서 일치하는 사람을 찾아 연락을 해 주길 기다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[질문8]교수님. 남은 문제 짚어보겠습니다. 결국 예방만이 답이라고 하셨습니다. 근본적으로 사람이 이렇게 밀집하지 않는 게 중요한데, 이미 이태원에 사람이 굉장히 밀집할 상황으로 예측이 됐죠? 이런 경우에 사전 통제가 필요하지 않습니까? <br> <br>[질문8-1]그럼 이번 참사 같은 경우, 구체적으로 어떻게 하면 막을 수 있었을까요? <br> <br>[질문8-2]그런데 이태원 핼로윈 축제는 주최가 없었잖아요. 이런 경우 누가 책임을 져야해요? <br> <br>맞습니다.<br><br>주최 측이 있었다면 안전관리를 소활히 한 책임을 물을 수 있는 사건인데요. <br> <br>이번 사고는 주최자가 따로 있는 축제에서 발생한 게 아니라 책임을 누구에게 물어야 할지 불분명한 건 사실입니다. <br> <br>다만, 10만 명이 운집할 거란 예상 보도 등이 나온 상황이라 경찰 등이 인력을 충분히 배치했어야 하지 않느냐는 지적이 나올 수 있을 것 같고요. <br> <br>용산구나 서울시 등 지자체에서도 사고 예방을 위한 조치를 취했는지도 살펴 볼 부분입니다.<br><br>[질문9]그래서 후진국형 재난이란 말까지도 나오는 것 같습니다. 동의하십니까?<br><br>[질문10] 이런 대형 참사가 벌어진 원인도 좀더 구체적으로 규명할 필요가 있어보이는데요. <br> <br>경찰과 검찰은 비상체제에 돌입하고요. <br> <br>경찰의 경우 서울청 수사차장을 본부장으로 하는 수사 본부를 꾸렸습니다. <br> <br>경찰은 최초 사고 경위 파악에도 나섰는데요.<br><br>신고자와 목격자 진술, 주변 업소 관계자들을 상대로 조사를 벌이고 있고요.<br><br>CCTV와 당시 현장에 있던 시민들이 촬영한 영상 등도 확보해 사고 원인 파악에 나섰습니다. <br> <br>[질문10] 목격자 증언이나 제보영상, 보도하는 저희가 최대한 모자이크 처리를 하고 있습니다만, 사실 그 자체로 굉장히 참혹한 장면이고 SNS로도 많이 유포되고 있습니다. 물론 현장에서 사건을 직접 겪은 분들도 많이 있고요. 트라우마 걱정되던데요? <br><br>실제 사고 현장에서 심폐소생술을 도왔다는 시민들은 "지금도 손발이 덜덜 떨리고 눈물이 나온다"라고 말하기도 했는데요. <br> <br>[이태원 사고 목격자] <br>"일행 중에 한 명이 간호사였어서…심폐 소생을 도와드리려고 했는데. 이미 돌아가신 분이라고 해서 심폐소생을 해도 의미가 없다고." <br> <br>트라우마는 정신적·신체적으로 큰 충격을 준 사건에서 느끼는 불안이나 공포 증세인데요.<br><br>이런 참사를 겪으면, 당장은 괜찮아 보이더라도 수년 후에 발병할 수도 있고요.<br><br>그래서 심리치료가 필요한 건데요. <br> <br>대한신경정신의학회도 오늘 성명을 내고 "유가족과 지인, 목격자, 사고대응인력 등 많은 국민의 큰 충격이 예상돼 대규모 정신건강지원이 필요한 상황”이라고 밝혔습니다. <br><br>정부도 국가트라우마센터를 운영하겠다고 밝혔습니다. <br> <br>꼭 현장에 있지 않더라도, 사진이나 영상으로도 심리적 충격을 받을 수 있으니까요.<br><br>전문가들의 도움을 꼭 받아보셔야겠습니다.<br /><br /><br />박건영 기자 chang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