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 와중에 책임 떠넘기기가 시작됐습니다. <br> <br>사고 현장이 6호선 이태원 지하철역 바로 근처라 인파가 더 몰렸죠.<br><br>미리 지하철 무정차를 결정했다면 인파를 줄일 수 있었을텐데요. <br> <br>지하철 무정차를 놓고 경찰과 서울교통공사가 책임 공방을 벌였습니다. <br> <br>홍유라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참사가 발생한 밤 10시 15분, 당시에도 지하철은 이태원역에서 승객들을 실어날랐습니다. <br> <br>이날 하루 이태원 역을 이용한 사람은 13만 명이 넘습니다. <br> <br>여의도 불꽃축제처럼 이태원역 무정차가 이뤄졌다면 참여자가 분산됐을 거였다는 지적이 나오는 이유입니다. <br> <br>경찰이 참사 발생 1시간이 지난 뒤에야 둬늦게 무정차를 요구했다는 의혹까지 불어지자, 경찰은 사실이 아니라고 극구 부인했습니다. <br> <br>용산경찰서 112 상황실장이 참사 40분 전인 오후 9시 38분 서울교통공사 측에 전화로 무정차 통과를 요청했다"는 겁니다. <br> <br>그런데 공사 측이 승하차 인원이 예년과 차이가 없다며 정상적으로 운영해야 한다고 답했다는 주장입니다. <br> <br>반면 서울교통공사 측은 사실이 아니라고 반박했습니다.<br><br>참사 이후 1시간이 지난 밤 11시 11분에야 용산경찰서 상황실에서 이태원역장에게 무정차를 요청했다는 겁니다. <br> <br>오히려 저녁 9시 38분 역장이 이태원 파출소장에게, 유입 승객이 너무 많으니 통제해달라고 전화로 요청했다고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참사 당시 인파가 몰리는 것을 방지하기 위한 '이태원역 무정차 요구'에 대해 서로 다른 주장을 펴면서 진실공방으로 번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 A 뉴스 홍유라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김지균