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핼러윈 행사를 앞두고 용산구청은 대책회의를 3번이나 열었다고 합니다. <br> <br>사흘 전엔 구청, 경찰, 상인 연합회, 이태원역장까지 다 모였는데요. <br> <br>그 때 이미 안전사고 우려가 제기됐다는데, 결과적으로 행사 당일 배치된 구청 직원은 고작 30명이었습니다. <br> <br>김의태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지난 27일부터 닷새 동안을 핼러윈 긴급 대책기간으로 정했던 용산구. <br> <br>3년 만에 마스크 없는 핼러윈 데이 축제에 많은 인파가 몰릴 것으로 예상됐지만 정작 투입된 직원은 150명에 그쳤습니다. <br> <br>하루 30명 꼴입니다. <br> <br>하루 10만 명 이상, 참사 당일엔 13만 명이 몰렸지만 인원을 늘리지도, 경찰에 협조를 요청하지도 않았습니다. <br> <br>[용산구청 관계자] <br>"이 기간(27일~31일) 중에는 150여 명이 나가기로 돼 있었거든요. 통행관리는 경찰쪽에서 하고 저희는 주정차나 소음이나 일반적인 대책이었어요." <br> <br>용산구청은 상인연합회와 경찰 등 유관 단체들과 여러 차례 대책회의를 열었습니다.<br><br>확인된 건만 최소 3차례. <br><br>하지만, 불법 주정차단속, 시민 안전수송 대응, 코로나 관련 방역 수칙 준수, 인파 쏠림 대비 야외시설물 철거 등이 주로 논의된 것으로 전해졌습니다. <br><br>반면 불과 2주 전 서울시와 용산구청이 후원했던 이태원지구촌축제 때는 사뭇 달랐습니다. <br> <br>당시 행사장엔 안전 요원 1천명이 배치돼 질서유지에 나섰고, 1백만 명이 이태원을 다녀갔지만 큰 사고는 없었습니다. <br> <br>[이태원 상인] <br>"지구촌 축제 때에는 녹사평부터 여기 저희 바로 앞에 횡단보도까지 일단 가운데 다 통제가 되어 있어서 차량이 아예 이동이 없었고" <br> <br>서울용산경찰서도 지난 27일 보도자료를 내고 이태원 핼러윈 데이에 평소보다 112 신고가 2배 이상 급증할 것으로 예상된다고 전망했습니다. <br> <br>시민 안전과 질서 확립을 위한 협력사항을 논의했다고 밝혔지만, 결국 참사를 막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의태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: 이승헌 <br>영상편집: 이태희<br /><br /><br />김의태 기자 etkim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