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정부 부처 책임자들이 잇따라 사과하고 철저한 감찰을 약속했지만, 한편에서는 경찰과 서울교통공사가 볼썽사나운 진실공방을 <br>벌이고 있습니다.<br> <br>이태원역 무정차 요청을 사고 전에 했냐, 뒤에 했냐, 시점을 놓고 진흙탕 싸움을 하는 것입니다. <br> <br>백승연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지하철 6호선 이태원역이 용산경찰서의 지하철 무정차 통과 요청을 받은 시점이라고 밝힌 건 사고 당일 밤 11시 11분.<br><br>사람이 깔렸다는 최초 119 신고가 접수된 지 56분이 지난 시점이었습니다. <br><br>그런데 경찰은 이 시점이 무정차 통과를 처음 요구한 게 아니라며 반박했습니다. <br> <br>[황창선 / 경찰청 치안상황관리관] <br>"23시 11분경에는 야외가 아닌 사무실에서 상황실 요원이 이태원 역사 직원에게 전화를 해서, 그러니까 2차죠. 2차 무통과 요청을 한 것입니다." <br> <br>밤 11시 11분 통화는 2차 요청이었고, 최초 무정차 통과 요청을 참사 당일 밤 9시 38분에 했다는 겁니다. <br><br>용산경찰서 112 상황실장이 이태원역장과의 통화에서 무정차 요청을 했다며 당시 112 상황실장의 휴대전화 발신 기록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무정차 통과 요청 시점을 놓고 경찰은 사고 이전에, 서울교통공사는 사고 이후라는 상반된 주장을 하는 겁니다.<br><br>공사 측은 밤 9시 38분 통화에선 무정차 요청이 없었다고 반박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오히려 이태원역장이 역사로 유입되는 승객을 통제해달라고 경찰에 요청했다는 겁니다. <br><br>공사 측은 이날 "승객 폭주 상태가 아니라고 판단"해 무정차 통과 조치를 하지 않았습니다.<br><br>밤 11시 11분 경찰 요청 이후에도 시민의 원활한 귀가를 위해 계속 열차를 정차시켰다는 입장.<br><br>향후 진상 조사에서 어느 쪽이 진실을 말하는지 규명이 필요하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백승연입니다. <br><br>영사취재: 정승호 <br>영상편집: 형새봄<br /><br /><br />백승연 기자 bsy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