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사회1부 최주현 기자와 112 신고 내용 조금 더 자세히 살펴보겠습니다. <br> <br>Q. 최 기자, 사고 당일 일찍부터 112, 119 신고가 있었던 거예요. 심지어 6시대부터 우려가 나왔어요. <br> <br>A. 첫 신고부터 '압사'라는 단어가 나옵니다. <br> <br>오늘 경찰이 공개한 112 신고 접수 녹취록에 압사라는 단어가 모두 13 차례 나옵니다. <br> <br>신고자의 입에서 나온 게 9번, 경찰이 반복해서 따라한 것은 4번 입니다. <br> <br>최초 119 신고보다 3시간 41분 앞섰던, 첫 112 신고 당시 상황을 들여다보죠. <br> <br>사상자가 쏟아진 해밀톤 호텔의 좁은 골목은 물론, 위에서 내려가는 인파와 아래에서 올라오는 인파로 압사 당할 것 같다는 상세한 설명이 있었습니다. <br> <br>경찰관도 압사라는 단어를 반복하면서 상황 인지를 하는데요.<br><br>"아무도 통제를 안하는데 경찰이 나서달라"고 재차 부탁합니다. <br><br>Q. 첫 112 신고 이후에는 어떤 신고들이 이어졌습니까. <br> <br>A. 약 4시간 동안 접수됐던 112 신고 내용이 유사하거든요. <br> <br>"서로 밀치면서 다치는 상황이 발생하고 있다", "그야말로 대형 사고 일보 직전이다".<br><br>결국 소방에 첫 신고가 접수되기 직전, 말그대로, 압사의 위기가 현실이 되는 순간까지 신고는 이어졌습니다. <br><br>그런데 이런 신고 내용들 간과할 수 없는 대목이 있습니다. <br> <br>참사 다음날,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이 했던 말과 굉장히 대조되기 때문인데요. <br> <br>이 장관은 중앙재난안전대책본부 긴급회의에서 "특별히 우려할 정도의 인파도, 경찰이나 소방 인력을 미리 배치했다고 해서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도, 아니었다"고 밝힌 바 있습니다. <br><br>Q. 신고 내용이 생각보다 굉장히 구체적이라는 생각이 들었어요. <br> <br>A. 아시다시피, 사고 당일 이태원 일대에 13만 명 이상이 몰렸죠. <br> <br>이날 현장을 관리하는 서울 용산경찰서 이태원 파출소 직원들이 처리한 신고 건수가 모두 122건이라고 경찰이 밝혔습니다. <br> <br>그런데 오늘 경찰이 공개한 신고 녹취록이 이중 11개 거든요. <br> <br>녹취록을 모두 분석해봤는데, 신고자들의 요구는 분명하고도 구체적이었습니다. <br> <br>"사람들을 빼낸 뒤에 안으로 들어오게 해달라"며 유동인구 통행 조절을 요구하기도 하고요.<br><br>현장의 심각성을 알리기 위해 직접 촬영한 영상을 112 문자 신고를 통해 전달하겠다는 의사를 밝히기도 합니다. <br> <br>'원 웨이, 그러니까 일방통행할 수 있게 통제를 부탁드린다'는 구체적인 해법을 제시하기도 합니다.<br><br>이 신고자의 요구, 다중 밀집 장소에서 압사 사고를 막기 위해 전문가들이 제시하는 방법이기도 합니다. <br><br>특히 신고 중간중간에 잡음이 들어간 부분도 있었는데요.<br><br>당시 수많은 인파가 몰리면서 통신 장애가 수차례 발생할 때도 신고가 이어졌던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Q. 그럼 오늘 공개된 녹취록의 신고들에 대해 경찰이 출동하기는 했습니까? <br> <br>A. 모두 현장에 출동한 것은 아닌 것으로 보입니다.<br><br>어디까지나 오늘 경찰이 공개한 112신고 녹취록 11건을 기준으로 말씀드리면요. <br> <br>4건만 현장 출동했습니다.<br><br>시민을 통제하거나 인도로 안내하는 조치를 했다고 기록됐다는 게 경찰 설명입니다. <br> <br>나머지는 전화로 안내하는데 그치거나 아직 어떻게 처리됐는지 확실하지 않은 상태입니다. <br> <br>Q. 오늘 경찰청장의 말을 보면, 이런 배경으로 결국 용산경찰서의 대응에 대한 고강도 감찰과 수사를 예고한 것 같아요. <br> <br>어제 저희 보도 보면, 심지어 119에 첫 신고가 접수된지 세 시간 뒤에야 용산경찰서가 전 직원 비상소집명령을 전달했다는 거잖아요? <br> <br>A. 크게 두 부분에 대한 감찰과 수사가 병행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우선 112 신고가 접수되고 현장 처리되는 과정입니다. <br> <br>서울 용산 이태원에서 사건사고가 발생해서 112 신고를 하면 서울경찰청으로 접수됩니다. <br> <br>서울청은 일반 경찰서, 그러니까 용산경찰서로 지령을 내리고요. <br> <br>용산서 산하에서 이태원을 관할하는 이태원파출소에서 출동하는 체계입니다. <br> <br>이 과정 전체를 뜯어 볼 것으로 보입니다.<br> <br>윤희근 경찰청장은 용산경찰서 지휘관과 근무자들의 조치가 적절했는지도 빠짐없이 조사하겠다고 밝혔는데요. <br> <br>비상소집명령을 적시에 내렸는지, 이 명령이 제대로 이행됐는지도 감찰과 수사의 대상이 될 것이란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시민들이 112 신고를 통해 현장 상황의 위험성을 적극적으로 알렸던 기록이 발견된 만큼, 경찰은 물론 정부와 지방자치단체가 이번 사건에서 무엇을 간과했었는지, 앞으로 뭘 개선해야 하는지 분명하게 따져봐야겠습니다. <br> <br>Q. 네, 지금까지 사회1부 최주현 기자였습니다.<br /><br /><br />최주현 기자 choigo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