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br /> “압사당할 것 같아요.” “대형사고가 나기 일보직전이에요.” “빨리 좀 와주세요.” <br /> <br /> 다급한 신고 전화가 이어졌지만 경찰의 대응은 안일했다. 지난달 29일 이태원 참사 전 사고 위험성을 알리는 112 신고가 총 11건 접수된 것으로 확인됐다. 이 중 6건에는 ‘압사’라는 말이 직접 언급됐고, 나머지 신고에서도 “죽을 것 같다” 등 급박한 상황이 생생했다. 그러나 경찰은 11건 중 4건의 신고에만 현장 출동을 했고, 나머지 7건은 전화로 안내만 한 뒤 종결한 것으로 나타났다. <br /> <br /> 윤희근 경찰청장은 1일 ‘이태원 사고 관련 경찰청장 브리핑’에서 사고 발생 직전 다수의 112 신고가 있었다는 점을 밝히면서 “112 신고를 처리하는 현장의 대응이 미흡했다고 판단했다”고 말했다. 윤 청장은 부실 대응과 관련해 “112 신고처리를 포함해 전반적인 현장 대응의 적정성과 각급 지휘관과 근무자들의 조치가 적절했는지 등도 빠짐없이 조사할 것”이라며 “제 살을 도려내는 ‘읍참마속’의 각오로 진상 규명에 임하겠다”고 말했다. <br /> <br /> 윤석열 대통령도 이날 신고 전화에 대한 경찰의 대응조치가 미흡했다는 보고를 받고 “한 점 의혹이 없도록 진상을 밝히라. 법과 원칙에 따라 엄정 처리하라”고 질타했다고 대통령실 관계자는 전했다. <br /> <br /> 관련기사 대통령실 일각, 애도기간 뒤 이상민·윤희근 경질설 <br /> ━<br /> “난리났어요, 이태원 뒷길” “와서 일방통행하게 해주세요” <br /> <br /> 경찰청이 이날 오후 공개한 112 신고 녹취록에 따르면 최초 신고는 오후 6시34분쯤 해밀톤호텔 부근 이마트24 편의점 쪽에서 접수됐다. 사고 발생(29일...<br /><br />기사 원문 : https://www.joongang.co.kr/article/25114208?cloc=dailymotion</a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