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태원 참사의 원인과 책임 소재를 수사 중인 경찰이 강제 수사에 돌입했습니다.<br> <br>오늘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, 용산구청 등 8곳에 대한 압수수색에 나섰습니다.<br> <br>당시 경비 계획 문건 등 주요 자료를 확보하고 있습니다.<br> <br>이솔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경찰청 특별수사본부가 오늘 오후 2시부터 압수수색에 들어간 기관은 모두 8곳.<br><br>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, 용산구청을 비롯해, 이태원역과 다산콜센터도 포함됐습니다. <br><br>다만 이태원역은 압수수색에 실패해 추후 다시 시도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윤희근 경찰청장이 대국민 사과에 나선지 하루 만에, 이태원 참사의 원인과 책임 소재를 밝히기 위한 강제수사에 착수한 겁니다. <br> <br>이태원을 관할하는 용산경찰서뿐만 아니라, 상급기관인 서울경찰청까지 포함된 것도 주목됩니다. <br> <br>[황창선 / 경찰청 치안상황관리관] <br>"감찰이나 수사 대상의 범위는 현장뿐만 아니라 지휘 라인 전체가 포함될 것으로 판단됩니다. 그게 그렇게 하는 게 당연히 맞지 않겠습니까?" <br> <br>용산경찰서의 현장 대처가 미흡했을 뿐만 아니라, 참사 상황에 대한 보고체계가 신속히 작동하지 않은 정황이 드러난 상황. <br> <br>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은 사고 발생 후 1시간 21분이 지난 뒤에야 사고 사실을 보고받은 것으로 알려졌습니다. <br> <br>경찰청에는 자정을 넘긴 시각에 늑장 보고됐다는 의혹도 불거졌습니다. <br><br>특수본은 용산경찰서가 핼러윈 대응 계획을 세우면서 경찰기동대 지원을 요청했지만, 서울청이 묵살했다는 주장에 대해서도 확인할 계획입니다. <br> <br>경찰청은 용산경찰서장이 더 이상 업무를 수행하기 어렵게 됐다며 대기 발령시키고, 후임자를 임명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솔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한효준 <br>영상편집 : 김지균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