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오늘 울릉도 전역에 공습경보가 사상 처음 발령됐습니다. <br> <br>하지만, 주민들은 사이렌이 울리는 이유를 24분 뒤에야 안전문자를 보고 알았습니다.<br> <br>영문도 모른 채 우왕좌왕하던 주민들은 불안과 공포에 떨어야 했습니다.<br><br>김태영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공습경보는 오전 8시 55분부터 3분간 울릉군 전역에 울려 퍼졌습니다. <br> <br>울릉군은 오전 9시 5분쯤 공무원들에게 지하로 대피하라는 메시지를 보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, 정작 주민들은 민방위 훈련으로 알거나, 국가 애도 기간이라 특별 사이렌이 울리는 줄 알았습니다. <br> <br>[울릉도 주민] <br>"사이렌 소리가 갑자기 나니까는 이게 무슨 일인가 싶어서 놀라 가지고…." <br> <br>울릉군은 공습경보가 발령됐으니 지하시설로 대피하라는 안전 문자를 9시 19분에 주민들에게 발송한 겁니다. <br> <br>이마저도 '울릉 알리미 앱'을 통해서만 발송돼 상당수 주민들은 문자를 받지 못했습니다. <br> <br>구체적인 대피 안내방송은 경보 발령 45분 뒤에나 있었습니다. <br> <br>[울릉도 주민] <br>"면사무소에서도 아직 군청에 아무 연락을 못 받아서 무슨 상황인 줄 모르던데." <br> <br>주민들은 지인들의 안부전화나 TV로 실제 상황인 걸 파악했습니다. <br> <br>[황진영 / 울릉도 주민] <br>"외지인들 통해서 듣거나 아니면 아침 뉴스를 통해서 방송을 통해서 접하게 됐고." <br> <br>울릉군청은 "자세한 상황을 파악하느라 시간이 걸려 대피 문자 발송이 늦었다."라고 해명했습니다.<br> <br>울릉군의 늑장 대처로 주민들은 우왕좌왕했습니다. <br> <br>[울릉도 주민] <br>"처음이에요. 울릉도 살면서 이런 일은 처음이기 때문에 심장이 두근두근해요." <br> <br>[울릉도 주민] <br>"지하실로 대피하라는데 지하실이 없으니까 주민들이 바깥에 나와서 우왕좌왕 이게 무슨 상황이고 서로 묻고 이런 상황밖에 안됐죠." <br> <br>울릉군에 있는 지하대피소는 모두 8곳, 하지만 주민들조차 어디에 있는지, 대피 행동요령도 몰랐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태영입니다. <br> <br>영상편집 : 유하영<br /><br /><br />김태영 기자 live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