미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0.75%포인트 올린 데 이어 예상보다 더 강한 통화 긴축 신호를 보내면서 오늘 하루 국내 금융시장도 영향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큰 폭으로 하락한 뒤 잠시 상승세로 전환하는 등 종일 상승과 하락을 반복하며 변동성이 이어졌는데, 불확실성은 당분간 계속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하겠습니다. 강희경 기자! <br /> <br />코스피가 종일 오르내리며 혼조세를 보였는데요, 어제보다 조금 내리면서 마감했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코스피는 어제보다 0.33% 내린 2,329.17에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1.69% 내리면서 개장했다가 오후엔 잠시 상승세로 전환하는 등 등락을 반복했는데요. <br /> <br />폐장 직전까지도 혼조세를 보이다가 막판 매도 물량이 쏟아지며 약세로 돌아섰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 미 연준의 연방공개시장위원회, FOMC 결과에 시장도 영향을 받은 겁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제롬 파월 연준 의장의 메시지였는데요. <br /> <br />파월 의장은 FOMC 정례회의를 마친 뒤 기자회견에서 최종금리 수준이 예상보다 더 높아질 것이고, 금리 인상 중단에 대해 생각하는 것도 매우 시기상조라는 입장을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기준금리 인상의 '보폭'은 줄일 수 있지만 횟수가 늘고 긴축 기간도 길어질 거란 점을 시사한 겁니다. <br /> <br />다만 미국이 고강도 긴축을 이어갈 거란 점은 시장에서 어느 정도 예상됐던 내용인 만큼 시간이 지나면서 충격이 다소 완화된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미국의 긴축 기조에 달러가 강세를 보이면서 원-달러 환율도 올랐는데요. <br /> <br />환율은 어제보다 6.4원 오른 달러당 1,423.8원에 거래를 마쳤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향후 금융시장에 미칠 영향은 어떨까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여러 불확실성 속에 금융시장은 당분간 불안한 흐름을 이어갈 것으로 보이는데요. <br /> <br />특히 한미 간 금리 격차를 줄이기 위해 우리도 기준금리를 올릴 경우 채권 금리도 따라 올라가면서 채권시장 상황이 더 악화할 거란 우려가 나오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 때문에 경제·금융당국 수장들은 오늘 오전 비상 거시경제금융회의를 열었는데요. <br /> <br />현재까지 시장 반응으로 볼 때 국내 금융시장에 대한 영향은 제한적일 것으로 예상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도발에 나선 북한 리스크가 현실화할 가능성이 있는 만큼 관련 상황을 예의주시하기로 했습니다. <br /> <br />한국은행도 '시장 상황 점검회의'를 이승헌 부총재 주재로 열었는데요. <br /> <br />금융·외환시장 변동성이 크게 확대될 경우 적시... (중략)<br /><br />YTN 강희경 (kangh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1103171235727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