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태원 참사, 차분하게 문제점들을 하나하나 짚어볼 시간입니다. <br> <br>시민들은 112 신고 전화로 일찌감치 위험하다 경고했는데, 경찰은 움직이지 않았죠. <br> <br>112 신고 상황을 총괄해야 할 112 상황관리관은 그 시각, 자리를 비웠던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이 상황관리관은 늑장 대응한 용산경찰서장과 함께 수사를 받는 처지가 됐습니다.<br> <br>김정근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참사 발생 첫 신고 3분 뒤인 10시 18분, 소방당국은 112에 공동 대응을 요청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서울경찰청 112 상황실을 총괄하는 상황관리관이 자리를 비워 즉각 대응을 못한 것으로 드러났습니다. <br> <br>경찰청 특별감찰팀은 당일 야간 상황관리관이었던 서울경찰청 류미진 총경을 업무 태만으로 대기발령하고 수사를 의뢰했습니다. <br> <br>류 총경은 참사 발생 후 1시간 24분 뒤인 밤 11시 39분에 직원의 보고를 받고 112 상황실로 복귀했습니다. <br> <br>경찰청은 이임재 용산경찰서장도 대기 발령시키고 수사를 의뢰했습니다.<br><br>참사 당일 저녁 6시 34분부터 112 신고가 잇따랐지만, 이 서장은 참사 발생 5분 뒤에야 현장에 도착했습니다. <br> <br>각각 112 신고 처리와 현장 대응을 책임지는 두 간부를 상대로 수사를 벌여 책임을 묻겠다는 겁니다.<br><br>심지어 이들은 사고 상황을 상부에 즉각 알리지도 않았습니다.<br><br>김광호 서울경찰청장이 첫 상황보고를 받은 건 밤 11시 36분.<br><br>이임재 서장으로부터 전화로 보고를 받았습니다. <br> <br>윤희근 경찰청장은 자정을 넘긴, 다음날 0시 14분에서야 보고를 받았습니다. <br> <br>경찰의 최고 수뇌부인 두 사람 모두, 윤석열 대통령이나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보다 늦게 상황을 파악한 겁니다. <br><br>이렇게 무너진 경찰의 보고체계는, 급박한 참사 현장에서 더딘 대응으로 이어졌다는 지적이 나옵니다.<br><br>채널A 뉴스 김정근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김문영<br /><br /><br />김정근 기자 rightroo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