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미국에서 ICBM은 레드라인이라고 표현합니다. <br> <br>특히 화성 17형은 사거리 만 5천KM, 미 본토까지 닿을 수 있기 때문이죠.<br><br>백악관은 심야시간인데도 즉각 규탄 성명을 냈고, 북한이 몰래 러시아에 포탄을 제공하고 있다고도 밝혔습니다. <br> <br>워싱턴 유승진 특파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 미국은 본토를 위협하는 북한의 ICBM 발사 소식에 한밤중에 즉각 성명을 냈습니다. <br> <br>백악관 국가안전보장회의는 "북한의 ICBM 시험 발사를 강력 규탄한다"면서, "유엔 안보리 결의를 명백히 위반한 것"이라고 밝혔습니다.<br> <br> 주민 복리보다 불법적인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개발을 우선시하고 있다는 점도 지적했습니다. <br> <br> 또 미국 본토와 동맹인 한국과 일본의 안보를 위해 "필요한 모든 조치를 취할 것"이라고 덧붙였습니다.<br><br>국무부도 북한의 이번 행동이 "모든 국가가 유엔 안보리 결의를 충실하게 이행할 필요성을 보여준다"고 규탄했습니다.<br> <br> 앞서 백악관은 북한이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에 몰래 포탄을 제공하고 있다는 첩보도 공개했습니다. <br> <br> [존 커비 / 백악관 NSC 전략소통조정관] <br> "중동이나 북아프리카로 보내지는 것처럼 보이게 함으로써, 무기 선적의 실제 목적지를 혼란스럽게 하고 있습니다." <br> <br> 지난 9월 북한은 러시아에 무기를 수출한 적 없고, 그럴 계획도 없다며 부인했습니다. <br> <br> 미국은 이 포탄들이 실제 러시아에 전달되는지 예의주시할 것이며, 북한에 책임도 묻겠다고 압박했습니다. <br> <br>[네드 프라이스 / 미 국무부 대변인] <br> "우리는 대량살상무기와 탄도미사일 프로그램뿐만 아니라 러시아에 대한 지속적인 무기 제공에 대해서도 북한에 책임을 물을 방법을 계속 모색할 것입니다." <br> <br>중간선거를 닷새 앞두고 바이든 대통령은 대외 리스크 관리에 주력하고 있지만, 북한이 변수입니다. <br> <br> 북한이 핵실험까지 강행하며 판 흔들기에 나설지 촉각을 곤두세우고 있습니다. <br> <br>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 영상편집 : 방성재<br /><br /><br />유승진 기자 promoti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