상황관·서장 피의자 전환 검토…참고인 85명 조사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태원 참사의 책임 소재를 규명하기 위한 경찰의 강도 높은 수사가 이어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찰 특별수사본부는 당시 지휘 책임자가 역할을 다했는지와 참사 원인을 밝히는 데에 수사력을 모으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서울경찰청 강력범죄수사대에 나가 있는 취재기자 연결합니다.<br /><br />윤솔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네, 이태원 참사 특별수사본부에선 참사의 책임 규명과 사고 원인을 밝히기 위한 수사가 진행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먼저 사고 당시 책임자였던 류미진 서울경찰청 인사과장과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이 수사 대상에 올라있습니다.<br /><br />어제(3일) 경찰청 특별감찰팀은 이들에게 대기발령 조치를 내리고, 수사를 의뢰했다고 밝혔는데요.<br /><br />류 총경이 야간 돌발 상황에 적극적으로 대응할 의무가 있는 '야간 상황관리관'으로서 참사 발생 당시 의무를 제대로 하지 않아 상황 인지와 지휘부 보고 모두 늦어졌다고 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현장 지휘자였던 이 전 서장은 사고 현장에 늦거나 보고가 늦는 등 대응 조치에 문제가 있었다고 판단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별수사본부는 이들을 정식으로 입건해 피의자로 수사하는 방안을 검토 중입니다.<br /><br />한편 특수본은 사고 경위와 원인을 밝히기 위한 조사 역시 주력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특수본은 경찰 4명을 포함해 사고 목격자와 주변 상인, 부상자 85명을 참고인으로 불러 조사했고, 140여 개 CCTV 영상을 분석하며 사고 당시 상황을 파악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또 서울경찰청과 용산경찰서, 소방, 용산구청과 이태원역 등 8개 장소에서 확보한 압수물을 분석해 참사 당시 접수된 신고 이력과 조치 내용 등을 확인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경찰이 공개한 112신고 내용에 따르면, 사고가 일어나기 4시간 전부터 압사 위험을 알리는 신고는 총 11건 접수됐는데요.<br /><br />이중 실제 출동은 4건에 그치며 부실 대응 논란이 일었습니다.<br /><br />경찰은 이태원파출소의 초동 대응과 상급 기관인 용산경찰서와 서울경찰청의 대응이 적절했는지 수사할 예정입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서울경찰청장이나 경찰청장 등 지휘부를 대상으로 하는 조사도 함께 이뤄질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또 압수물 분석 내용을 토대로 소방과 용산구청 등의 책임은 없었는지도 들여다보면서, 책임자들의 입건 여부를 검토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수본은 수사를 신속하게 진행해, 분석이 완료되는 대로 본격적으로 참고인 등 관계자들을 불러 조사를 이어갈 계획입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서울청 강력범죄수사대에서 연합뉴스TV 윤솔입니다. (solemio@yna.co.kr)<br /><br />#이태원참사 #경찰청 #특별수사본부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