北도발에 내일 안보리 회의…국제사회 대책 마련 분주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ICBM까지 꺼내든 북한의 연이은 도발에 국제사회는 분주하게 움직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은 유엔 안전보장이사회 공개회의를 열 것을 요청했고, 유엔은 내일 새벽 회의를 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정호윤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유엔안보리는 현지시간으로 오늘 저녁, 우리 시간으로는 내일 새벽 4시 공개회의를 열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 문제를 논의하기 위해 미국이 안보리 공개회의 개최를 요청한데 따른 것으로, 미국뿐 아니라 영국과 프랑스, 알바니아와 아일랜드, 노르웨이 등 유럽 이사국들도 의견을 함께 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최근 안보리 내부에서 파열음이 심심치 않게 나왔던 만큼, 이번 회의 이후 추가 제재나 규탄 성명 같은 안보리 차원의 공식 대응이 나올지에 대해선 회의적인 시선이 많은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안보리 상임이사국인 중국과 러시아가 앞서 의장성명 채택을 무산시켜온 것처럼 이번에도 비슷한 전철을 밟을 가능성이 크다는 의미입니다.<br /><br />안보리 차원의 논의와는 별도로 다른 나라들도 북한의 이번 도발에 대한 입장을 내놓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역시 가장 적극적이고 민감하게 반응하고 있는 나라는 일본입니다.<br /><br />주요7개국 G7 외교장관회의에 참석하기 위해 독일을 찾은 하야시 요시마사 일본 외무상은 어제 우리 박진 외교장관과 전화통화를, 토니 블링컨 미국 국무장관과는 직접 만나 협력과 공동 대응을 약속했습니다.<br /><br />북한 도발 문제는 G7 외교장관회의가 열린 독일에서도 비중 있게 다뤄졌습니다.<br /><br />의장국인 독일은 "북한의 국제법 위반을 최대로 강력하게 규탄한다"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또 독일과 일본의 외교·국방 장관은 이른바 2+2 회의를 열고 심각한 우려를 공유하는 등 국제사회는 북한의 도발 이후 몹시 분주하게 대화와 협력을 이어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중국은 대화와 협상을 통한 문제해결을 강조할 뿐 북한에 대한 추가 제재에는 사실상 반대입장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호윤입니다.<br /><br />#북한 #유엔안보리 #ICBM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