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일방통행이었다면? 중앙선 있었다면?...이태원 참사 시뮬레이션 돌려보니 / YTN

2022-11-04 722 Dailymotion

이태원 참사 원인에 대한 조사가 진행되는 가운데, 당시 인파에 대한 기본적인 통제만 있었더라도 피해를 줄일 수 있지 않았을까 하는 안타까움이 여전한데요. <br /> <br />인파가 몰리는 현장에서 방향 통제가 보행 흐름에 어떤 영향을 미치는지 시뮬레이션으로 실험을 진행해봤습니다. <br /> <br />민대홍 PD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PD] <br />한국교통연구원을 찾아 몇 가지 상황을 가정해 실험을 진행했습니다. <br /> <br />실험을 위해 실제 사고가 발생한 이태원 골목길을 간소화해 재구성했습니다. <br /> <br />전체 도로 폭은 지적도상에 나온 5m를 적용했고, 골목 입구부터 10m는, 현장 취재와 소방당국이 발표를 참고해 3.2m로 설계했습니다. <br /> <br />먼저 실험 1, 이태원 골목길에는 어느 정도 인파가 모였을 때부터 문제가 발생할까? <br /> <br />양방향으로 유입되는 사람이 늘면서 이동 속도가 점차 줄어드는 모습을 보이는데요. <br /> <br />3분이 지나면서, 사람들이 오도 가도 못하는 정체가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이때 골목길에 있는 인원은 고작 360명에 불과했습니다. <br /> <br />양쪽 끝을 제외하곤 출구가 없는 좁은 골목길. <br /> <br />아무런 통제를 하지 않았을 때 400명 정도가 지나가기에도 벅찼던 겁니다. <br /> <br />[이 준 /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안전·방재연구센터 연구위원 : 180초 이상에서 정체 현상이 발견되고, 이제 특수 구조적인 특수성이 뭐냐면 좌우를 피할 데가 없는 상황이었습니다. 그럼 서로 자기가 가려는 방향으로 밀고 밀기만 할 거기 때문에 압력이 높아지는 사고가 일어날 수 있는 개연성이 높은 상황이 됐다고 볼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실험 2. <br /> <br />중앙선을 만들어 이동 방향을 통제했다면 어땠을까? <br /> <br />내려가는 사람도, 올라오는 사람도 모두 우측통행을 하게 했더니, 220초, 3분 40초가 돼서야 정체가 발생합니다. <br /> <br />이때 유입 인원은 6백 명에서 8백 명. <br /> <br />통제가 없었을 때보다 정체가 발생하는 시간이 늦춰졌음은 물론, 최소 3백 명에서 많게는 5백 명까지 추가로 통행이 가능했습니다. <br /> <br />[이 준 / 한국교통연구원 교통안전·방재연구센터 연구위원 : 우측보행을 시키게 되면 보행자가 약 1분 동안 100명에서 200명 정도가 더 빨리 지나갈 수 있는 걸 확인할 수 있었습니다. 전반적인 우리 피해 상황을 봤었을 때, '100명 200명이 지나갈 수 있는 걸 확보하는 것만으로도 큰 성과가 될 수 있지 않을까'라고 조심스럽게….] <br /> <br />마지막 세 번째 실험은, 골목길을 일방통행으로 통제했다... (중략)<br /><br />YTN 민대홍 (risewise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105012759326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