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태원 참사 이후 경찰 지휘부는 가장 먼저 부실한 현장 대응을 질타하면서 고강도 감찰로 책임소재를 가리겠다고 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정작 윗선에선 보고체계가 제대로 작동하지 않았고, 지휘 공백도 잇따른 것으로 드러나면서 경찰 지휘부를 향한 책임론이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최민기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윤희근 경찰청장은 참사 사흘 만에 대국민 사과를 하면서 현장의 부실 대응을 지적했습니다. <br /> <br />'살을 도려내는 심정', '읍참마속'이라는 말로 강도 높은 감찰도 예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[윤희근 / 경찰청장 (지난 1일) : 현장의 대응은 미흡했다는 판단을 했습니다. 제 살을 도려내는 읍참마속의 각오로….] <br /> <br />당일 인력 배치엔 문제가 없었다는 해명도 행안부 장관과 경찰청장이 잇따라 내놨습니다. <br /> <br />[이상민 / 행정안전부 장관 (지난달 30일) : 경찰이나 소방 인력이 미리 배치함으로써 해결될 수 있었던 문제는 아니었던 것으로….] <br /> <br />[윤희근 / 경찰청장 (지난 1일) : (코로나 기간을 제외한 기타 연도 대비) 나름 많은 인원을 투입한다고 대비를 했던 인원이 137명이었다.] <br /> <br />특히 참사 4시간 전부터 압사를 우려하는 구체적인 112신고 내용이 공개되면서 대체 현장 경찰은 뭘 했느냐는 비난 여론도 들끓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자 일선 경찰들은 내부망에서, 그리고 언론 인터뷰에서 강력히 반발합니다. <br /> <br />[이태원파출소 경찰 익명 인터뷰(CBS 라디오 김현정의 뉴스쇼/지난 3일) : 경찰관 4명이 또 교통정리를 하기 위해서, 인파 통제를 하러 나갔습니다. 안 나간 게 아니에요. 통제의 티가 나지 않는 겁니다.] <br /> <br />[김백겸 / 이태원파출소 경사(YTN 뉴스라이더 /지난 3일) : 그 많은 인파들을 다루기에는 아무래도 저희 파출소 인력이 많이 부족한 건 사실입니다.] <br /> <br />그러나 300여 명이 숨지거나 다치는 동안 경찰 윗선은 자리를 비웠고, 늑장 보고가 이어지며 지휘체계는 사실상 작동을 멈췄다는 게 속속 드러납니다. <br /> <br />당시 용산경찰서장은 밤 11시 넘어 이태원에 도착하기까지 상황 지휘를 하지 않았고, <br /> <br />서울경찰청 상황관리관은 시민들의 신고가 쏟아지는데도 112상황실을 지키지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용산서장이 서울경찰청에 처음 보고한 건 발생 1시간 20여 분이 지난 밤 11시 36분, 다시 상급기관인 경찰청 보고는 자정을 넘긴 0시 2분에야 이뤄졌습니다. <br /> <br />[방문규 / 국무조정실장(지난 4일) : 보고체... (중략)<br /><br />YTN 최민기 (choimk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105050302976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