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'구조·진압' 책임은 소방...사고 전후 과정도 수사 / YTN

2022-11-06 34 Dailymotion

용산소방서, 이태원 참사 나흘 전 소방안전대책 문건 작성 <br />’안전순찰’ 의용소방대, 하루 12명씩 총 48명 투입 <br />밤 10시 이후 의용소방대 인력 없어…10시 15분 이태원 참사 <br />’대응 3단계’ 서울·인근 인력 동원…906명 현장 투입<br /><br /> <br />재난이 터졌을 때, 구조·진압을 책임지는 기관은 소방인데요. <br /> <br />이태원 참사 전에는 안전 순찰을 하는 의용소방대가 하루 12명가량 투입됐고, 참사 직후에는 소방 인력 9백여 명이 동원돼 구조 활동을 펼쳤습니다. <br /> <br />경찰은 참사 전후 인력 투입 과정에서 미비점이 없었는지도 조사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한동오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이태원 참사 나흘 전, 용산소방서가 만든 소방안전대책 문건입니다. <br /> <br />안전순찰을 하는 의용소방대가 하루 12명씩, 4일 동안 모두 48명이 동원됩니다. <br /> <br />[이 일 / 소방청 119대응국장 : 핼러윈 데이 같은 경우는 4일 동안 이루어지기 때문에 용산소방서의 경우에는 의용소방대 포함 약 60여 명의 인원으로 해서 저희들이 배치를 했고….] <br /> <br />순찰이 끝나는 밤 10시 이후 인력은 없었고, 이태원 참사는 10시 15분, 이 공백 시간에 터졌습니다. <br /> <br />1시간 반쯤 뒤 소방당국은 서울시 소방력을 총동원하는 대응 3단계를 발령했고, 경기와 인천, 강원, 충북과 충남 등 5개 지자체 인력까지 동원됐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투입된 인력만 자그마치 906명입니다. <br /> <br />관련 규칙을 보면 긴급 구조 대응 상황에서 지휘·통제와 경고, 상황 분석, 구조·진압의 책임기관은 소방청입니다. <br /> <br />경찰 등 다른 부처는 이를 지원하는 역할입니다. <br /> <br />경찰이 참사 전 인파 통제 계획 등을 제대로 세우지 않은 책임 규명과는 별도로, 경찰은 참사 전후 현장에 투입된 소방 인력이 어떤 역할을 했는지도 수사할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특별수사본부 관계자는 모든 가능성을 열어두고 수사하고 있고 소방도 살펴보고 있다고 밝혔습니다. <br /> <br />또, 사고 대비를 어떻게 했고 당시 출동해서 어떻게 활동했는지 등을 전반적으로 보고 있다며, 압수물 분석을 토대로 관련자들을 조사해 책임 소재를 밝히겠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한동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한동오 (hdo86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106175856777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