내일 밤에는 달이 지구 그림자에 완전히 가려지며 붉게 변하는 '개기 월식' 현상이 나타납니다. <br /> <br />특히 천왕성이 월식이 일어난 보름달의 뒤로 숨었다 나타나는 '엄폐 현상'도 동시에 볼 수 있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개기월식과 천왕성 엄폐가 동시에 나타나는 것은 수백 년 만에 처음입니다. <br /> <br />정혜윤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환하게 떠오른 보름달의 한 귀퉁이가 어둡게 변합니다. <br /> <br />어두운 빛이 점점 더 범위를 넓히더니 달 전체를 뒤덮자 보름달이 붉게 변합니다. <br /> <br />개기월식입니다. <br /> <br />개기월식은 태양과 지구, 달이 일직선으로 위치할 때 나타납니다. <br /> <br />지구 그림자가 달을 가리게 되는데, 일부분이 가려지면 부분월식, 전체가 가려지면 개기월식으로 부릅니다. <br /> <br />화요일 저녁에 예정된 월식은 서울을 기준으로 오후 6시 8분부터 시작됩니다. <br /> <br />달의 왼쪽부터 어두워지며 부분식이 시작되고 이어 저녁 7시 16분부터 8시 41분까지 약 1시간 25분가량은 달이 지구 그림자에 의해 완전히 가려집니다. <br /> <br />이어 달이 서서히 그림자에서 벗어나며 밤 9시 49분부터는 본래의 모습을 되찾게 됩니다. <br /> <br />특히 이번 개기월식에는 천왕성이 달 뒤로 숨었다 나타나는 '천왕성 엄폐 현상'이 동시에 나타납니다. <br /> <br />천왕성은 밤 8시 23분, 붉게 변한 달 왼쪽으로 들어가 1시간 3분쯤 지난 뒤, 달의 오른쪽 부분에서 모습을 드러냅니다. <br /> <br />개기월식과 천왕성 엄폐가 동시에 나타나는 건 수백 년에 한 번 나타날 정도로 희귀한 현상입니다. <br /> <br />[이태형 / 충주 고구려천문과학관장 : 달 뒤로 숨었다 나타나는 천왕성을 직접 맨눈으로 관측하기는 힘들지만, 쌍안경이나 망원경을 이용하면 개기월식과 천왕성 엄폐가 동시에 일어나는 희귀한 우주쇼를 볼 수 있습니다.] <br /> <br />지난해에 이어 2년 연속 나타난 개기월식 <br /> <br />다음 개기월식은 3년 뒤인 2025년 9월 8일에 볼 수 있지만, 개기월식이 아닌 일반적인 보름달 뒤로 천왕성이 숨었다 나타나는 현상은 2068년에나 볼 수 있을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YTN 정혜윤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정혜윤 (jh0302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5_20221107032934273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