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강 건너 불구경' CCTV 관제센터…보고 '0'건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이태원 참사 당일 용산구청 CCTV 관제센터는 사실상 무용지물이었습니다.<br /><br />관제요원이 실시간으로 현장 상황을 지켜봤지만 행안부나 경찰서 등으로의 보고는 단 1건도 없었습니다.<br /><br />곽준영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이태원 참사 당일 현장을 모니터링 하는 용산구청 CCTV 통합관제센터는 말그대로 강 건너 불 구경 중이었습니다.<br /><br />사망자가 속출한 해밀톤 호텔 뒷골목에는 CCTV 2대가 있었지만 인파가 몰린 저녁 7시 이후 어떠한 보고나 구호 요청은 없었습니다.<br /><br /> "용산구 관제센터에서 저희 (행안부) 쪽으로, 상황실로 상황을 보고한 건은 없는 것으로 그렇게 알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지자체 CCTV 관제센터 운영 규정에 따르면 관제요원은 비상 상황 발생 시 경찰서나 행안부 상황실로 즉시 보고해야합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참사일 밤 10시반쯤 용산경찰서에서 연락이 오자 그제서야 '육안으로 현장이 보이지 않는다. 사람이 밀려다닌다'고 답했습니다.<br /><br />관제센터가 무용지물일 당시 용산구가 청사에서 직선 거리 약 300m 참사 현장 상황을 파악한 건 소방청 연락을 받고 난 뒤였습니다.<br /><br />소방청은 행안부 보고에 앞서 서울시와 용산구청 상황실에 각각 밤 10시 26분과 29분에 참사 상황을 먼저 전파했습니다.<br /><br /> "저희들이 신고를 받고 절차에 의해서 관할 자치단체와 서울시에 연락은 취했습니다. 누구에게 취했는지까지는 현재 파악이 필요한…"<br /><br />이후 박희영 구청장에게 보고되기까진 또다시 20분이란 귀한 시간이 흘렀습니다.<br /><br />그 사이 박 구청장은 내부 직원이 아닌 상인연합회를 통해 상황을 먼저 알았단 의혹도 제기됐습니다.<br /><br />사태를 처음 인지한 시점과 과정부터 그 이후 대응까지 용산구청과 지자체장인 박희영 구청장에 대한 비판의 목소리가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곽준영입니다.<br /><br />kwak_ka@yna.co.kr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