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상수지 겨우 적자 면했지만…연말이 더 걱정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 8월 적자를 냈던 경상수지가 9월에는 다행히 흑자로 돌아섰습니다.<br /><br />대외 가계부 격인 경상수지의 흑자 전환은 분명 좋은 일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수출이 부진한데다 가스, 석탄 같은 에너지, 원자재 수입 증가세가 여전해 흑자 폭이 지난해의 15% 선에 불과했습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008년 이후 14년 만에 처음으로 '8월 적자'를 나타냈던 경상수지가 9월에는 다시 흑자를 기록했습니다.<br /><br />경상수지에서 가장 비중이 큰 상품수지가 석 달 만에 흑자 문턱을 가까스로 넘은 덕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 흑자 폭은 겨우 16억1,000만 달러, 1년 만에 85%나 급감했습니다.<br /><br />수출이 0.7% 줄며 2020년 10월 이후 첫 감소를 기록한 게 결정적이었습니다.<br /><br />제품으로는 철강과 반도체의 수출 감소 폭이 컸고 지역별로는 최대 교역국 중국으로의 수출이 지난해보다 6.5%나 감소했습니다.<br /><br />반면 수입은 18%나 늘었습니다.<br /><br />에너지값 폭등 탓에 가스 수입액이 무려 165.1%, 원유 수입액이 57.4% 늘면서 전체 수입액을 끌어올렸습니다.<br /><br /> "경상수지 흑자 폭 축소는 일본, 독일 등 에너지 수입 의존도가 높은 국가에서 공통적으로 나타나고 있는 현상입니다. 에너지를 제외할 경우 무역수지는 상당폭 흑자를 나타내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한국은행은 대외 불확실성 탓에 갑작스런 적자나 흑자 급감 같은 경상수지 변동성이 큰 상황이 지속될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 "수입액이 감소하는 추세이긴 한데 수출이 상당히 불안하거든요. 우리 주력 시장이라고 할 수 있는 중국시장이나 반도체 수출이 잘 안 되고 있어서…"<br /><br />글로벌 경기 후퇴로 수출마저 위태로워지면서 올해 남은 월별 경상수지가 다시 적자를 보일 수 있단 우려도 커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#경상수지 #상품수지 #에너지값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