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렇게 이태원 참사와 관련한 정부 기관의 부실 대응 정황이 속속 드러나면서 희생자 유족 등의 국가 상대 소송 움직임이 본격화되고 있습니다. <br> <br>국가가 이번 참사를 충분히 예견할 수 있었느냐가 관건인데, 경찰의 수사결과가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이솔 기자의 보도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이태원 참사 희생자를 위한 국가배상 소송 움직임이 본격화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법조계 일각에서 국가가 책임을 져야 한다며, 소송인단 모집에 들어간 겁니다. <br> <br>희생자 유족들의 꾸준한 문의가 계기가 됐습니다. <br> <br>[양태정 / 소송 담당 변호사] <br>"도대체 누구한테 책임이 있는 건지, 왜 이런 고통을 받아야 하는 건지에 대해서 너무 답답하고 그런 마음에 연락을 주시고 상담을 해오셨죠." <br> <br>현재까지 유족과 지인을 포함해 10여 명 정도가 상담을 받거나 소송 참여 의사를 밝혔습니다. <br><br>소송 대리인 측은 이번 사고 당시 경찰과 지방자치단체가 법에 규정된 직무상 의무를 다하지 않았다고 보고 있습니다. <br><br>[양태정 / 소송 담당 변호사] <br>"피고를 크게 국가와 지방자치단체로 잡고 있고요. 국가 같은 경우 특히 경찰이 되겠죠. 참사 발생 4시간 전부터 수십 차례 경찰에 신고돼 있었기 때문에 그때부터 의무가 생기는 걸로 보거든요." <br><br>지난 2014년 4월 발생한 세월호 참사에서도, 유가족들은 국가와 해운사를 상대로 손해배상 청구 소송을 제기한 바 있습니다. <br> <br>법원은 1심에서 국가가 희생자 1명당 2억 원을 배상하라고 선고했습니다. <br><br>해경이 승객의 퇴선 조치를 제대로 하지 않았다는 점을 지적하며 "위법한 직무 집행"이라고 판단한 겁니다. <br> <br>이번 소송에서도 공무원들의 부실 대응을 입증하는 게 쟁점인데 경찰청 특별수사본부의 수사결과가 중요한 판단 근거가 될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솔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이승헌 김명철 <br>영상편집 : 이태희<br /><br /><br />이솔 기자 2sol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