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참사가 발생 13일째.<br> <br>공식 애도기간이 끝나면서 이태원의 상점들도 문을 열기 시작했지만, 사실상 개점휴업입니다. <br> <br>희생자들에 대한 미안함을 품고 생계를 이어갈 수 밖에 없는 이태원 사람들의 이야기를 이혜주 기자가 들어봤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참사가 발생한 골목 바로 뒤로 이태원 최대 번화가인 세계음식문화거리. <br> <br>점심시간이지만 음식점과 술집 대부분이 문을 닫았고, 행인도 거의 없습니다. <br> <br>간혹 문을 연 식당도 손님을 찾기 힘듭니다. <br> <br>[음식점 운영] <br>"저희는 일요일부터 (열었어요). (손님) 별로 없어요." <br><br>[구두 수선집] <br>"완전히 초상집이야. 사람이 없어. 완전히 한겨울이야." <br> <br>이태원 분향소 근처 환전소는 꽃집으로 변했습니다. <br> <br>[환전소 주인] <br>"마음이 안 좋지. 공짜로 하나씩 다 나눠줬어요. 울고 매일, 어제도 얼마나 울었는지 몰라요." <br> <br>이 거리 음식점과 술집의 20% 정도만 영업을 재개한 상태입니다. <br> <br>경찰통제선이 쳐진 참사 현장 맞은편 대로변 가게들은 대부분 영업을 시작했습니다. <br> <br>하지만 말을 건네기 어려울 정도로 침통한 분위기입니다. <br> <br>이태원 인근에서 배달하는 배달원들도 생계를 이어가는 마음이 편치 않습니다. <br> <br>참사 현장을 지날 때마다 미안함과 우울함이 교차합니다. <br> <br>[배달기사] <br>"(현장을) 안 보면 되잖아요. 그냥 속으로만 생각하고. 그냥 마음속으로 응원해요." <br> <br>국가애도기간 동안 일반 손님을 받지 않고 구급대원과 경찰에게 음료를 무료로 제공했던 빵집은 오는 13일까지로 기간을 늘렸습니다. <br> <br>지금 이태원 공간은 희생자에 대한 애도와 생계에 대한 걱정이 공존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혜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권재우 <br>영상편집 구혜정<br /><br /><br />이혜주 기자 plz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