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달항아리 작가'로 널리 알려진 강익중 작가가 12년 만에 고국에서 신작을 선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대립과 갈등의 세상 속에서 너와 나, 자연과 사람, 남과 북을 잇는 연결과 화합의 메시지가 오롯이 담겨 있습니다. <br /> <br />이교준 기자의 보도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시간의 흐름에 따라 이지러지는 달의 모습과 달에 반사된 형형색색의 달 무지개를 표현합니다. <br /> <br />뉴욕을 중심으로 활동해온 강익중 작가의 새로운 연작 입니다. <br /> <br />달항아리의 형상과 제작 방식 모두 동양과 서양, 사람과 자연, 서로 다른 존재를 잇는 '연결'의 미학을 변함없이 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[강익중 / 작가 : 백토로 만들기 때문에 아래를 만들고 위를 만들어서 이어붙여서 불을 통과하는 것이거든요. 그래서 결국은 달항아리가 이어지고 품고 나누는 하나의 일이거든요.] <br /> <br />'연결'의 이야기는 또 다른 연작 '내가 아는 것'으로 확장됩니다. <br /> <br />3인치 크기의 우드패널에 쓴 알파벳 한자한자 모여 단어가 되고 다시 문장을 이룹니다. <br /> <br />전시장에 비치된 스케치와 비공개 자료는 그동안 뉴욕과 런던, 순천 등 국내외에서 추진한 대형 공공미술프로젝트의 궤적을 엿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밥그릇 5백 개가 산처럼 쌓여 있고, 그 사이로 DMZ 지역에서 녹취한 새 소리가 흘러나옵니다. <br /> <br />뒤집힌 밥그릇을 바로 놓고 밥을 채워 남북이 함께 먹고 싶은 소망이 절절합니다. <br /> <br />오래 전부터 품어온 더 큰 꿈은 한반도 평화의 염원을 담은 임진강 '꿈의 다리'입니다. <br /> <br />[강익중 / 작가 : 꿈의 다리가 놓여지면 임진강에 하나의 이음선이 되고, 남과 북을 이어주고, 미래와 과거를 이어주고, 동과 서를 이어주는 역할을 한다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귀국 후 사흘 만에 마주한 이태원 참사, <br /> <br />분향소에서 만난 시민들의 애도는 작가의 가슴에 이어져 한 편의 시가 됐고, 갈라진 마음들을 이을 작품을 예고합니다. <br /> <br />[강익중 / 작가 : 같이 먹어서 한식구 같이 울어서 한식구 같이 웃어서 한식구 같이 아파서 한식구 같이 품어서 한식구 같이 나눠서 한식구 같이 꿈꿔서 한식구] <br /> <br />YTN 이교준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이교준 (kyojo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211121146460256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