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이런 가운데 이태원 참사 유실문 센터는 오늘로 문을 닫습니다. <br><br>그날의 참혹했던 기억이 새겨져서인지 대부분이 아직 주인을 찾지 못 했는데요. <br><br> 이후엔 어떻게 되는 걸까요.<br> <br> 김정근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><br>[기자]<br>진공 포장된 옷들이 줄지어 놓여 있습니다. <br> <br>짝을 잃은 신발과 흠집이 난 안경도 비닐 포장을 마쳤습니다. <br> <br>오늘 유실물센터 운영이 종료되면서, 장기 보관을 위해 방부제와 함께 포장된 겁니다. <br> <br>[유실물센터 관계자] <br>"유족들한테 하나하나 소중할 수 있으니까 보관하고 있다가. 그래도 귀중한 유품이 될 수 있으니까." <br> <br>참사 현장에서 수거된 유실물은 1075점. <br><br>골목길 폴리스라인을 해제하면서 254점이 추가로 수거됐습니다. <br> <br>지난 열흘간 희생자 유족 102명이 다녀갔고 370여 개의 유실물이 주인을 찾아갔습니다. <br> <br>나머지 950여 개는 내일부터 용산경찰서에서 보관하기로 했습니다. <br> <br>통상 유실물은 6개월이 지나면 폐기 처분하지만 이번 유실물은 6개월이 지난 뒤에도 경찰에서 계속 보관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이태원 녹사평역에 있는 공식 분향소 운영도 어제 종료됐습니다. <br> <br>이태원역 1번 출구에 있는 자율 추모 공간에는 여전히 많은 시민들의 발길이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[정의정 / 인천 남동구] <br>"충격적인 마음도 컸고 유가족 분들이 너무 안타깝다는 생각도 많이 들고 해서, 차마 쉽게 올 수 없더라고요. 이제 좀 기간이 지나고 한번 와서 추모를 드리자 생각했었는데 그래서 오늘 방문하게 됐어요." <br><br>자원봉사자들은 당분간 자율 추모 공간을 관리하면서, 인터넷 사이트를 개설해 추모 관련 기록을 온전히 남기는 방안을 추진 중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김정근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추진엽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 /><br /><br />김정근 기자 rightroo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