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태원 참사를 수사하는 경찰청 특별수사본부가 1차로 입건한 주요 피의자 조사에 속도를 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주요 피의자들은 물론 지휘부 인사 대부분이 책임 소재를 명확히 인정하지 않는 상황에서 특수본이 혐의를 입증해낼 수 있을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취재기자 연결합니다. 송재인 기자! <br /> <br />현장 책임자들은 물론 이상민 행정안전부 장관도 고발되면서 특수본에 피의자로 입건된 상태인데요. <br /> <br />대부분 책임 소재를 뚜렷하게 인정하지는 않고 있는 거죠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가장 상급 기관장, 행정안전부 이상민 장관이 대표적입니다. <br /> <br />행정안전부의 경찰 지휘 감독 권한, 또 책임과 관련해 경찰국 신설을 추진하던 지난 6월과 참사 이후 분위기가 달라졌습니다. <br /> <br />직접 들어보시죠. <br /> <br />[이상민 / 행정안전부 장관 (6월 27일) : (행안부 장관이) 경찰청의 업무가 과연 제대로 돌아가고 있는지 수시로 확인하고 지휘·감독할 책임과 권한이 있는 것이고….] <br /> <br />[이상민 / 행정안전부 장관 (11월 7일) : (행안부는 경찰청을 지휘·감독 합니까, 안 합니까?) 지휘·감독 권한이 지금 없습니다.] <br /> <br />특히 최근 경찰에 대해 '남의 살림'까지 챙길 수는 없지 않느냐고 말해 논란을 사기도 했습니다. <br /> <br />이 장관과 함께 입건돼 특수본 수사를 받고 있는 현장 책임자들 태도도 크게 다르지 않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(18일) 조사를 받은 박희영 용산구청장은 사태 심각성을 몰랐다는 취지로 진술하며 부실 대응 책임에 거리를 둔 거로 알려졌습니다. <br /> <br />같은 날 조사받은 류미진 총경도, 또 소환 조사를 앞둔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도 참사 뒤 50분 이상이 지나도록 심각성을 전하는 보고는 받지 못했다고 주장했습니다. <br /> <br />입건된 현장 책임자들이 이처럼 몰라서 대처하기 어려웠다는 식으로 일관하는 사이, 아직 참고인 신분인 경찰 지휘부는 책임을 넘기는 듯한 태도를 보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"참사 당일 시내 상황은 서울경찰청장 정도로 대처해도 문제가 없겠다 봤다"는 윤희근 경찰청장, <br /> <br />또 "용산경찰서 차원에서 경비기동대 배치 요청은 없었다"며 진실 공방을 벌이고 있는 김광호 서울경찰청장까지. <br /> <br />무능과 도덕적 비난을 감수하더라도 이렇게 하면 수사와 이후 형사 처벌을 피할 수 있을 거라 기대하는 거 아니냐는 지적이 나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현재 특수본 수사는 어떻게 진행되고 있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안전의무를 소홀히 하거나 직... (중략)<br /><br />YTN 송재인 (songji10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119160055140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