이미 닥친 기후위기…올겨울도 기상이변 경고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지난여름 수도권을 강타한 기록적인 폭우처럼, 기후 위기는 이미 현실이 되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한반도의 온난화는 전 지구 평균보다 2배나 빠르게 진행되고 있는데요.<br /><br />올겨울도 기상이변이 들이닥칠 가능성이 크다는 전망입니다.<br /><br />김재훈 기상 전문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018년 40도를 넘나든 극한 폭염, 이듬해 역대 최다인 7개 태풍 북상, 2020년에는 54일 최장 장마가 덮쳤습니다.<br /><br />작년에는 100년 만에 가장 일찍 벚꽃이 폈고, 올해는 시간당 140mm의 전례 없는 폭우가 강타했습니다.<br /><br />최근 몇 년간 한반도의 날씨는 이변의 연속이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19 펜데믹에도 불구하고, 이미 고삐 풀린 지구의 기온 상승은 멈출 줄 모르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 우리나라는 더 심각합니다.<br /><br />지난 100년간 한반도 기온은 1.6도가 올라 지구 평균보다 온난화 속도가 2배나 더 빠릅니다.<br /><br /> "온실가스 농도의 증가로 인해 관측된 기온 상승이 분명히 인간의 영향에 의한 온난화의 기여도와 일치한다는 사실에 주목하고 있습니다."<br /><br />올겨울 날씨도 만만치 않을 것이란 전망이 나옵니다.<br /><br />뜨거워진 지구는 북극을 사정없이 녹였습니다.<br /><br />올해 북극 해빙은 예년보다 적은 상태, 특히 한반도에 영향을 주는 카라-바렌츠 해역이 제대로 얼지 못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햇볕을 반사할 빙하가 줄면 북극 고온 현상은 가속화하고, 찬 공기를 감싸던 제트기류는 비정상적으로 흘러 날씨가 요동치는 것입니다.<br /><br /> "카라해와 바렌츠해의 해빙이 평년보다 적을 경우 북동유럽에 블로킹(기류 정체 현상)이 발달하게 되고 시베리아와 동아시아에 대륙고기압이 강화됩니다. 이럴 경우 우리나라로 찬 공기가 유입될 가능성이 있습니다."<br /><br />동태평양의 수온이 평소보다 낮아지는 라니냐도 복병입니다.<br /><br />특히, 3년 연속 라니냐가 이어지는 '트리플 딥'은 이번 세기 들어 처음 있는 현상입니다.<br /><br />과거 라니냐 시기 한반도의 겨울은 추웠지만, 최근에는 이 통계도 무너지고 있습니다.<br /><br /> "최근에는 서태평양 고수온 해역이 북상하고 따뜻해짐으로 인해 난기가 오히려 우리나라 쪽으로 올라오는 경향이 많아요."<br /><br />기습 한파와 이상 고온이 번갈아 나타나는 변칙적인 겨울이 될 가능성 커진 것입니다.<br /><br /> "냉탕과 온탕이 오고 가는 그런 겨울이 되고 있어서, 제트가 너무 심하게 출렁거리다 보니까 겨울 내에서도 기온 변동성이 확대되고 있는 그런 추세를 보입니다.<br /><br />극단적인 날씨가 새로운 표준이 되어가는 기후 위기 시대.<br /><br />올겨울도 언제 들이칠지 모르는 기후 재난에 대비가 필요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재훈입니다. (kimjh0@yna.co.kr)<br /><br />#기후위기 #기상이변 #북극한파 #라니냐 #트리플딥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