'2017년과 닮은꼴' 출구 안 보이는 한반도 위기…대화냐 교착이냐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레드라인을 넘는 고강도 도발을 이어가면서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도 미국, 일본과 함께 강대강 대응에 나서면서 긴장감을 낮출 뾰족한 출구가 보이지 않는 상황입니다.<br /><br />정영빈 기자가 보도합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신형 대륙간 탄도미사일 화성-17형 발사장에 모습을 드러낸 북한 김정은 국무위원장.<br /><br />핵 개발 정당성을 주장하며 북한을 상대로 한 군사적 대응은 곧 자멸이라고 위협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미국의 전략폭격기 B-1B는 2주 만에 한반도 상공에 재진입했습니다.<br /><br />핵무장이 가능한 B-1B 전폭기는 북한이 가장 두려워하는 전력으로, 북한을 향한 강력한 경고의 메시지를 재차 보낸 것입니다.<br /><br />이른바 '레드라인'을 넘은 북한의 고강도 도발이 잇따르고 한미 양국이 무력 시위로 계속 맞서면서 한반도 위기가 고조되는 상황.<br /><br />마치 5년 전을 연상케 합니다.<br /><br />2017년 7월 북한은 미군 기지가 있는 괌을 타격할 수 있는 중거리탄도미사일 화성-12형을 시험 발사했고 6차 핵실험 감행에 이어 ICBM까지 쏘아 올렸습니다.<br /><br />당시 도널드 트럼프 미국 대통령은 '화염과 분노'라는 초강경 발언을 내놓으며 북한에 대한 군사적 압박 강도를 끌어올리면서 한반도 위기감은 최고조에 달했습니다.<br /><br /> "미국과 동맹을 방어해야 한다면 우리는 북한을 완전히 파괴하는 것 외에는 다른 선택이 없을 것입니다."<br /><br /> "말귀를 알아듣지 못하고 제 할 소리만 하는 늙다리에게는 행동으로 보여주는 것이 최선이다."<br /><br />하지만 2018년 평창 동계올림픽을 계기로 남북 간 대화의 물꼬가 트였고 남북 정상회담에 이어 첫 북미정상회담까지 성사되며 한반도 정세는 극적 반전을 이뤘습니다.<br /><br />문제는 5년 전과 다르게 현재는 긴장감을 낮출 만한 뾰족한 출구가 아직 보이지 않는다는 점입니다.<br /><br />윤석열 대통령이 대북 정책인 담대한 구상을 제안했지만, 북한은 전혀 호응하지 않고 있고, 미국 역시 우크라이나 전쟁 장기화 등으로 인해 북한 문제에만 집중하기 어려운 상황이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다만 2015년 북한이 준전시상태를 선포하는 등 일촉즉발의 상황에서도 남북 고위급 회담이 열려 긴장 국면이 해소됐던 만큼 북한과 대화의 끈은 놓지 말아야 한다고 전문가들은 지적합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정영빈입니다. (jyb21@yna.co.kr)<br /><br />#출구_없는_한반도 #강대강_대치 #5년_만에_반복된_위기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