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 지난번 고금리에 전당포가 없어지면 무슨 일이 생길까, 가난한 사람들이 정말로 돈 빌릴 곳이 없어진다 전해드렸죠.<br> <br> 마찬가지 일이 저축은행이나 대부업체에서도 일어나고 있습니다. <br> <br> 정말 손대선 안 될 불법사채로 내몰리는 사람들은 이미 늘고 있습니다.<br><br>강유현 기자가 취재했습니다. <br><br>[기자]<br>[현장음] <br>“신용대출 상담 받으러 왔는데요.” <br> <br>[A저축은행 관계자] <br>“신용대출이 없어진 지 꽤 됐는데요.” <br> <br>[B저축은행 관계자] <br>“사업자대출이랑 법인대출밖에 취급 안 하고요.” <br> <br>올 초까지 개인에게 신용대출을 해줬던 한 저축은행 홈페이지에선 관련 상품이 아예 사라졌습니다. <br><br>또 다른 저축은행 관계자는 “8, 9월 부실률이 증가해 중단했다가 지난달 재개했다”고 밝혔습니다.<br><br>개인 신용대출을 3억 원 이상 취급한 저축은행은 올해 1월 38곳에서 9월 32곳으로 줄었습니다.<br><br>대출상품 수는 26개 감소했습니다.<br> <br>금리가 올라 부실 위험이 늘어난 데다 자금 조달 비용이 오르자 대출 규모를 줄인 겁니다.<br><br>대부업계도 마찬가집니다.<br><br>금융회사로부터 돈을 빌려오는 조달 금리가 연 10% 안팎까지 올랐는데 최고금리는 연 20%로 막혀 남는 게 없습니다.<br> <br>[대부업계 관계자] <br>“일부 대부업체의 경우 신규대출을 중단한 상황입니다.” <br> <br>제도권 내 2, 3금융권이 대출 문턱을 높이자 취약계층은 불법 사채로 내몰리고 있습니다. <br> <br>대전 한 음식점에서 일하는 30대 박모 씨는 올 초 저축은행을 찾았지만 거절당했습니다. <br> <br>[박모 씨 / 30대] <br>“대부업권에서 하나 받았고, 그 다음에 개인한테 받은 게 있어요. 개인사채는 400(만 원)에 5부 이자입니다.” <br> <br>월 5부는 연 60%로 불법입니다. <br><br>대부업 이용자 수는 2019년 말 178만 명에서 작년 말 112만 명으로 줄었고, 작년 불법 사금융 신고건수는 9200건으로 2년 전보다 85% 급증했습니다.<br> <br>앞으로도 금리는 더 오를 것으로 보여 취약계층은 대출 받기가 더 어려워질 전망입니다. <br> <br>채널A뉴스 강유현입니다.<br><br>영상취재: 한일웅 <br>영상편집: 이혜리<br /><br /><br />강유현 기자 yhka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