개도국 기후재앙 보상길 열렸지만…기금 조성까진 먼길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개발도상국의 기후재앙 피해를 돕기 위한 '손실과 피해' 기금 조성이 극적으로 타결됐지만, 실제로 개도국들이 보상금을 받기까지 갈 길은 멉니다.<br /><br />원칙론에만 합의가 이뤄졌을 뿐 세부내용은 결정된 게 없기 때문인데요.<br /><br />이봉석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파키스탄은 올해 여름 최악의 물난리를 겪었습니다.<br /><br />국토의 3분의 1이 잠기는 대홍수로 1,700여 명이 목숨을 잃고 3,300만 명에 이르는 수재민이 발생한 겁니다.<br /><br /> "방대한 규모의 인도주의적 재앙입니다. 수천 명의 이재민이 피난처조차 찾지 못했고, 많은 사람이 식량도 없이 고립됐습니다."<br /><br />기후변화가 촉발한 재난의 피해자인 파키스탄이 이와 같은 피해를 보상받을 길이 열렸습니다.<br /><br />제27차 유엔 기후변화협약 당사국 총회에서 개발도상국의 기후재앙 피해를 돕기 위한 기금 조성이 타결됐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실제로 보상받기 위해선 넘어야 할 산이 한두 개가 아닙니다.<br /><br />우선 어떤 종류의 피해를 보상 대상에 포함할지, 또 언제부터 발생한 피해를 보상 대상으로 할지에 대한 구체적 논의가 아직 이뤄지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기후변화에 가장 취약한 55개국은 지난 20년간 발생한 기후 재앙으로 인한 피해액이 700조 원을 넘을 것으로 추산하는데, 누가 재원의 부담을 질지도 결정되지 않았습니다.<br /><br />특히 미국과 유럽연합은 중국이 기금 조성에 기여할 것을 압박하고 있지만, 중국은 이를 거부해왔습니다.<br /><br />또 선진국들이 선뜻 돈을 내놓는다는 보장도 없습니다.<br /><br />미국의 경우 외교관들이 보상금 부담에 합의하더라도 관련 예산을 승인하는 건 의회입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이봉석입니다.<br /><br />#기후변화 #COP27 #손실과_피해_기금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