Surprise Me!

OECD "세계 경제 급격 둔화...내년 성장률 2.2%" / YTN

2022-11-22 4 Dailymotion

우크라이나 사태 등으로 고물가 현상 심화 <br />각국 중앙은행, 고물가 대응으로 기준금리 인상 <br />"수출 부진에 고물가로 민간소비 둔화 우려" <br />OECD, 경기 둔화에도 "통화 긴축 기조 이어가야"<br /><br /> <br />고물가에 대응하기 위해 각국 중앙은행이 기준금리를 빠르게 높이면서 세계 경제가 급격하게 둔화할 것이란 전망이 나왔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협력개발기구, OECD는 내년 성장률이 2.2%까지 주저앉을 것으로 봤는데 우리 경제 역시 여파를 피하진 못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조태현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지난 2월 우크라이나를 침공한 러시아. <br /> <br />안 그래도 코로나19 이후 공급망 문제 등으로 고물가에 신음하던 세계 경제에 치명타를 날렸습니다. <br /> <br />원자잿값이 폭등하며 물가가 치솟자, 전 세계 중앙은행들은 서둘러 기준금리를 높이기 시작했습니다. <br /> <br />[제롬 파월 / 미국 연방준비제도 의장 (지난 9월) : 연방공개시장위원회는 물가를 2%로 떨어뜨리기 위해 굳게 결심한 상태입니다. 우리는 그 일이 끝날 때까지 멈추지 않을 것입니다.] <br /> <br />고물가와 기준금리 급등은 결국 경기 둔화로 이어질 수밖에 없습니다. <br /> <br />경제협력개발기구, OECD는 세계 경제성장률이 올해 3.1%에서 내년엔 2.2%로 주저앉을 것으로 내다봤습니다. <br /> <br />2024년부턴 완만히 회복하겠지만, 유럽과 북미, 남미의 경제 회복은 더딜 것으로 분석했습니다. <br /> <br />수출 비중이 큰 우리나라에도 타격이 불가피한 상황입니다. <br /> <br />국내 경제 성장률은 내년과 내후년엔 2%에도 미치지 못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수출이 부진한 가운데, 길어지는 고물가의 영향으로 민간소비마저 둔화할 가능성이 크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주원 / 현대경제연구원 경제연구실장 : 경기침체는 들어가는 건 맞는 것 같아요. 미국도 그 정도 고금리를 버티기는 어렵고 우리나라도 마찬가지입니다. 다만 코로나19나 금융위기, 더 나아가서 외환위기 수준까지 내려갈 거냐? 지금 분위기에서는 그 정도까지는 아닐 거다….] <br /> <br />다만 현실로 다가온 경기 둔화 우려 속에서도 OECD는 긴축적인 통화 정책을 이어가라고 권고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 시점에선 물가 대응이 정책의 최우선 순위가 돼야 한다는 뜻입니다. <br /> <br />특히, 우리나라를 향해선 재정 건전화를 지속해야 한다며, <br /> <br />고물가 대응과 급격한 고령화 대비 차원에서 국회가 재정 준칙을 채택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조태현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... (중략)<br /><br />YTN 조태현 (choth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2_202211222205325725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

Buy Now on CodeCanyon