경기 불황의 단면…인구이동 48년 만에 최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고물가와 고금리에 따른 경기 불황의 신호들이 곳곳에서 나타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특히, 주택 거래가 얼어붙다시피 하면서 지난달 이사를 한 가구가 10월만 놓고 보면 48년 만에 가장 적었는데, 건설뿐 아니라 관련 산업 전체의 부진으로 이어질 가능성이 큽니다.<br /><br />이재동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요즘 공인중개사 사무소들은 찾는 사람의 발길이 뚝 끊겨 개점 휴업이나 다름없습니다.<br /><br />집을 내놓는 사람들은 여전하지만, 금리가 올라 돈 빌리기가 힘들어지자 사기는커녕, 전세를 얻겠다는 사람도 사라지다시피 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 "여기가 한 4천 세대 정도 돼요. (매매는) 완전 없다고 보면 돼요. 전·월세도 똑같아요. 거의 없어요. 매매가 없으니까. 그냥 버티고 있어요. 그래서 속이 많이 상해요."<br /><br />실제 8~9월 전국 주택 매매량은 6만8,000건으로, 지난해보다 60%가량 급감했습니다.<br /><br />자연스레 이사도 줄었습니다.<br /><br />10월 국내 이동자 수는 45만6,000명. 1년 전보다 15.5% 줄어 10월만 놓고 보면 1974년 이후 48년 만에 가장 적었습니다.<br /><br />월간 이동자 감소 추세는 이미 22개월째인데, 부동산 경기 침체와 더불어 저출산 고령화도 원인으로 꼽힙니다.<br /><br />3분기 출생아 수는 6만4,000여 명으로 3분기 기준 통계 집계 이래 최저였습니다.<br /><br />태어나는 아기는 주는데, 기대수명은 늘면서 2020년 43.7세였던 중위연령은 2050년 57.9세로 올라갈 것으로 통계청은 내다봤습니다.<br /><br /> "고령화 속도라든가 출산율이라든가 OECD 국가 중에서는 가장 최악이거든요. 잠재 성장률이 떨어지는 저성장 문제는 앞으로 더 심각해질 가능성이 높다고 보시면 될 것 같습니다."<br /><br />이사 같은 거주 이동이 줄면서 이사나 부동산업의 침체는 물론이고, 건설·가구·가전 등 관련 산업의 동반 부진으로 이어지진 않을까 우려하는 목소리가 높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이재동입니다.<br /><br />#부동산 #불황 #이사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