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드론에 사람을 태워 다니는 도심항공 교통이 빠르게 현실로 다가오고 있습니다. <br><br>3년 뒤 상용화가 목표인데, 오늘 시범비행을 했습니다. <br> <br>김포에서 서울 강남까지 15분이면 간다는데요.<br><br>이민준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사람이 탈 정도로 큰 드론이 천천히 하늘로 올라갑니다. <br> <br>스스로 비행하고 이착륙하는 자동 드론으로 40미터 높이에서 시원하게 상공을 가릅니다. <br> <br>일명 하늘 택시로 불리는 도심항공교통, UAM입니다. <br> <br>이 UAM 기체는 한국 중소기업이 직접 개발한 건데요. <br><br>최대 시속 95km까지 날 수 있고, 20km까지 이동할 수 있습니다.<br><br>김포공항에서 서울 강남까지 15분이면 갈 수 있는 겁니다. <br><br>[조범동 / UAM 개발 중소기업 대표] <br>"육상 모빌리티하고 비교했을 때 무엇보다 최단경로로 비행할 수 있습니다. 교통 체증 없이 이동할 수 있기 때문에 빠른 시간 안에 목적지에 도착할 수 있습니다." <br> <br>이번엔 건물 옥상에 마련된 수직이착륙장 실물도 함께 공개됐습니다. <br> <br>국산 기체와 이착륙장까지 마련된 만큼 실제 하늘 택시 운행도 멀지 않았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3년 뒤 수도권 실제 운행이 목표입니다. <br> <br>세계적으로 UAM 규모는 2040년까지 1700조 원으로 커질 것으로 보여 시장 선점이 중요하다는 겁니다. <br> <br>실제로 현대차와 한화 같은 대기업도 UAM 상용화에 앞다퉈 뛰어든 상황. <br> <br>다만 기체 충돌을 막기 위한 UAM 전용 공역 설정과 보험 같은 관련 법도 빨리 정비돼야 한다는 지적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민준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채희재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br /><br /><br />이민준 기자 2minju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