美 추수감사절 5.5천만 이동 "팬데믹 이전 수준" <br />추수감사절 역대 최고 기름값…항공료도 20% 인상 <br />美 명절 밥상물가 인상…칠면조 24%·감자 20% ↑ <br />연준 "인플레이션 압력 완화 신호 거의 안 보여"<br /><br /> <br />미국에선 추수감사절 인구 이동이 팬데믹 이전 수준으로 회복했지만 역대 물가가 가장 높은 명절로 기록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미국 중앙은행인 연방준비제도도 곧 금리 인상 속도를 늦추겠지만 인플레이션을 잡으려면 아직 갈 길이 멀다고 평가했습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 권준기 특파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올해 추수감사절을 맞아 여행길에 오르는 미국인 수는 5천 5백 만 명에 이를 것으로 집계됐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 이전 수준으로 회복한 수치입니다. <br /> <br />문제는 휘발유가 갤런당 3.61 달러로 역대 추수감사절 최고 기름값을 기록했고, 항공료도 코로나 이전보다 20% 이상 올랐다는 겁니다. <br /> <br />[제시카 리자 / 추수감사절 귀성객 : 왕복 항공권이 80달러 하던 때도 있었는데 이번엔 거의 400달러로 오른 것 같아요.] <br /> <br />추수감사절 밥상 물가도 줄줄이 올랐습니다. <br /> <br />칠면조 값이 작년보다 24% 오르는 등 주요 식료품 가격이 20% 안팎으로 인상됐습니다. <br /> <br />[로버트 카우프맨 / 칠면조 농장주 : 모든 게 다 비싸졌잖아요. 저희는 칠면조 사료로 먹일 옥수수를 직접 키우는 데도 그래요.] <br /> <br />이달 초 열린 연준 회의 의사록을 보면 인플레이션 압력이 약화되고 있다는 신호가 거의 보이지 않는다고 평가돼 있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면서 목표로 했던 2%대 물가 상승률을 달성하기 위해선 애초 생각했던 것보다 최종 금리가 더 높아질 수 있다고 관측했습니다. <br /> <br />다만 지금까지 이어온 고강도 금리인상의 효과를 파악하기 위해 금리인상 속도를 늦출 필요가 있다고 입을 모았습니다. <br /> <br />따라서 12월 연준 회의에서는 자이언트 스텝이 아닌 빅스텝, 0.5%p 금리인상 가능성이 더 커졌지만, 내년에도 상당 기간 금리인상 행진은 불가피할 것으로 전망됩니다. <br /> <br />워싱턴에서 YTN 권준기 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권준기 (jkwon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4_202211240708552202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