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물연대 파업 대화 물꼬?…협상 '미지수'<br />[뉴스리뷰]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화물연대 파업 이틀째인 오늘(25일) 정부가 공식 대화를 제안하면서 협상 창구가 곧 마련될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다만, 정부가 '업무개시명령'을 거듭 예고한 강대강 대치 상황 속 갈등이 쉽게 풀릴지는 미지수인 상황입니다.<br /><br />김지수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2만 5천여 명의 조합원이 참가한 화물연대 총파업.<br /><br />화물연대 측에 따르면 정부가 화물연대에 협상을 위한 공식 대화 요청 공문을 보내면서 문제 해결의 가능성이 열릴 것으로 보입니다.<br /><br />다만 협상 개시 시점은 아직 미정으로 논란이 된 지점들에서 타협점을 찾을 수 있을지가 관건입니다.<br /><br />그간 거리에 따라 최소 운송비를 보장하는 '안전 운임제'를 두고 정부는 3년 연장을, 화물연대는 영구 시행과 대상 확대를 주장하며 입장이 평행선을 달렸습니다.<br /><br />일단 일부 시민사회와 종교단체 관계자들은 화물연대 파업은 정당하다며 연대 입장을 밝히고 나선 상황.<br /><br /> "화물노동자들의 절실한 생존권적 요구이기도 하지만, 또 한편으론 공익적 요구, 안전 운행과 교통안전, 우리 사회의 안전을 위한 공익적 요구라고 생각합니다."<br /><br />화물연대는 정부가 안전 운임제 도입 이후 노동위험지수가 감소했고, 과로, 과적, 과속 감소했다는 결과 등을 인정하지 않고 있다고 말해 협상에서도 쟁점이 될 전망입니다.<br /><br /> "국토부의 연구용역을 통해 입증된 제도의 효과마저도 부정하며 제도 폐지라는 결론을 위해 거짓말을 일삼는 국토교통부의 대처가 화물연대 총파업을 야기했습니다."<br /><br />여기에 정부가 이번 파업에 대해 '업무개시명령' 발동을 예고하며 엄중 대응 방침을 거듭 확인한 점도 변수입니다.<br /><br />다만 파업이 장기화하면 산업계 전반의 충격은 물론 노동계에 대한 여론 악화 가능성도 있는 만큼 대화로 문제 해결의 물꼬가 트일 수 있다는 기대도 나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김지수입니다. (goodman@yna.co.kr)<br /><br />#화물연대 #총파업 #대화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