소나무 에이즈로 불리는 재선충병이 급속도로 확산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50년 만의 가을 가뭄과 잦은 산불이 원인인데, 2007년과 2014년에 이어 '3차 대확산'이 우려돼 산림 당국이 총력 방제에 나섰습니다. <br /> <br />김진두 기자가 보도합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밀양 야산에 있는 소나무가 노랗게 말라버렸습니다. <br /> <br />나무를 잘라 내부를 살펴보니 흰색 애벌레가 보입니다. <br /> <br />소나무 재선충병에 걸린 겁니다. <br /> <br />경남 밀양이 전국에서 가장 심한데, 영남 곳곳과 경기, 제주도까지 재선충이 확산했습니다. <br /> <br />올해 확인된 감염 목은 모두 38만 그루, 내년에는 배가 넘는 78만 그루까지 늘어날 것으로 우려됩니다. <br /> <br />영남지역을 덮친 50년 만의 최악 가뭄과 잦은 산불이 원인으로 지목됐습니다. <br /> <br />소나무 상태가 악화해 감염되기 쉽고 산불 대응으로 예찰 인력이 줄어 초기 진압이 늦어졌기 때문입니다. <br /> <br />[김용관 / 산림청 산림보호국장 : 과거 2007년 1차 확산, 2014년 2차 확산 추세를 볼 때, 지금이 3차 확산 초입이라 판단됩니다. 지금이 소나무 재선충 피해 확산을 저지하기 위한 총력대응이 필요한 시점입니다.] <br /> <br />산림 당국도 긴급방제 대응 단을 구성해 현장에 파견했습니다. <br /> <br />드론으로 사람이 접근하기 어려운 사각지대를 비롯해 한 번에 많은 지역을 조사하고 고사목의 좌표를 얻어냅니다. <br /> <br />진단 키트를 이용해 실험실에 표본을 보내지 않고 현장에서 바로 재선충병 감염 여부를 확인할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[남성현 / 산림청장 : 소나무 재선충 방제는 현장이 무엇보다 중요합니다. 피해가 심각한 지역을 중심으로 지자체와 협력하고 예찰 방제사항을 점검하고 지원하고 있습니다.] <br /> <br />내년에 재선충병 감염을 막기 위해 확인하고 관리해야 할 나무는 총 185만 그루에 달합니다. <br /> <br />산림 당국은 확인된 나무의 정보를 QR 코드로 관리해 재선충병 확산을 초기에 최대한 억제한다는 계획입니다. <br /> <br />YTN 김진두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진두 (jdkim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6_20221126065332671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