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물연대 총파업 사흘째…"월요일 오후 교섭 시작"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화물연대 파업이 오늘(26일)로 사흘째 접어든 가운데 산업현장 곳곳에서 물류 중단에 따른 피해도 점차 가시화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보도국 연결해 관련 소식 알아보겠습니다.<br /><br />홍정원 기자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주말이긴 하지만, 화물연대 총파업에 따른 물류 차질은 곳곳에서 이어졌습니다.<br /><br />전국 주요 항만의 경우 화물차량 운행이 끊기면서 컨테이너 반출입량이 급감했고, 시멘트 공장의 경우 육송출하 중단 소식도 이어졌는데요.<br /><br />자동차 업체들은 카캐리어 조합원들의 파업으로 배송센터 직원들이 완성차를 한대 한대 직접 운송하는 로드탁송에 나서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앞서 현대제철의 경우, 하루 많게는 수만톤의 출하차질이 빚어졌고, 국내 최대 석유화학 철강 업체가 밀집한 전남 광양항과 여수국가산업단지·광양제철소 등에서도 물류운송이 직접적인 영항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파업 사태가 장기화되면 일선 주유소에서의 물량 부족 사태도 현실화할 거라는 우려도 나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국토교통부의 대화, 교섭 제의에 화물연대가 다음주 월요일에 만나서 논의하자, 이런 답변 보냈다고 하죠.<br /><br />이 내용도 정리해주시죠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화물연대 관계자는 어제 이미 국토부 제의에 대한 답변을 보냈다며, 다음주 월요일 오후 2시 정부세종청사에서 교섭이 진행될 예정이라고 밝혔습니다.<br /><br />국토부 관계자도 형식적 측면 등 논의할 부분이 조금 남았지만 교섭 시간과 장소는 이미 정해진 사항이라고 설명했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 이번 교섭으로 극적인 돌파구가 열릴 수 있을지는 여전히 불투명합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안전운임제 일몰 기한을 3년 더 연장할 수 있다고 밝히면서도 최대 쟁점 중 하나인 '안전운임제의 차종·품목 확대'에는 불가 입장을 확고히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안전운임제는 컨테이너와 시멘트 운송에만 적용돼 왔는데, 화물연대는 이를 철강재, 자동차, 위험물 등 모두 5개 품목으로 확대할 것을 요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조속히 돌파구가 마련되지 않을 경우, 업무개시명령이라는 강제수단을 동원할 수밖에 없다는 입장입니다.<br /><br />오는 29일 업무개시명령을 심의, 의결할 수 있는 국무회의 시점까지를 사실상 협상 시한으로 여기고 있는 분위기인데요.<br /><br />국토부 관계자는 이와 관련해, "교섭과는 별개로 업무개시명령에 대한 실무 검토는 계속 진행"하고 있는 상황이라고 전했습니다.<br /><br />다만, 업무개시명령이 발동되면 법적 처벌을 받거나 면허를 취소당하는 화물 기사들이 상당수 발생할 수 있는 만큼, 정부 역시 고심에 고심을 거듭하는 분위기도 감지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지금까지 보도국에서 전해드렸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