화물연대의 파업이 오늘로 나흘째입니다. <br /> <br />전국 주요 항의 컨테이너 물동량은 크게 감소했고, 시멘트와 철강 등 산업 현장 곳곳에서 피해가 가시화될 우려가 커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취재 기자 연결합니다. 박종혁 기자! <br /> <br />파업이 나흘째 이어지면서 컨테이너 운송 물량이 눈에 띄게 줄었다면서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그렇습니다. 보시는 것처럼 이곳 부산 신항 컨테이너 야적장 앞에는 드나드는 차량을 볼 수 없을 정도로 한산합니다. <br /> <br />오늘 오전 10시를 기준으로 부산항의 컨테이너 반출입량은 20피트 컨테이너로 5,800TEU였습니다. <br /> <br />평시와 비교해 22%대에 머무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전국 12개 주요 항을 기준으로 보면 평시 대비 17%로 크게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항만 물동량 감소 외에도 시멘트와 철강 업종을 중심으로 파업 여파가 커질 것으로 전망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우선 시멘트의 경우 평소의 10% 이하로 출하율이 떨어졌고, 수도권의 주요 출하 기지는 출하 자체가 중단된 것으로 파악됩니다. <br /> <br />레미콘 업계는 오는 29일부터 전국의 생산 현장이 멈출 것으로 전망하고 있는데요, <br /> <br />이렇게 되면 전국 곳곳의 건설 현장에서 공정이 멈추는 사태가 벌어질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철강의 경우 하루 5만t을 출하하는 현대제철 포항 등 전국 5개 공장에서 출하에 차질이 빚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대차 울산 공장과 기아차 광주 공장은 직원들이 완성차를 직접 몰아 개별 탁송을 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유 업계도 파업이 길어질 경우 일선 주유소의 물량 부족 사태를 걱정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화물연대는 화물차 운전자들의 최소한의 운송료를 보장하는 '안전운임제'를 영구화하고, 적용 품목을 확대해달라고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정부는 이에 대해 시멘트와 컨테이너는 이미 3년 연장을 약속했고, 적용 품목 확대는 논의가 필요하고 국회에서 합의해야 한다는 의견입니다. <br /> <br />이런 가운데 국토교통부와 화물연대가 내일 28일, 월요일 오후에 정부세종청사에서 교섭을 벌일 예정입니다. <br /> <br />이 자리에서 어떤 해법이 나올지 주목됩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부산 신항에서 YTN 박종혁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박종혁 (johnpark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15_202211271613167028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