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전세대출금리가 오르면서 전세 수요가 꺾였습니다. <br> <br>인기 좋던 강남 전세가 급기야 10억 원이나 떨어졌습니다.<br> <br> 집주인들이 보증금 돌려줄 때 고민이 커졌습니다. <br> <br>김승희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3400세대가 넘는 서울 서초구의 대단지 아파트. <br> <br>최근 5개월 만에 전셋값이 10억 가까이 떨어졌습니다. <br> <br>지난 6월 35평짜리 전세 매물 최고가가 22억 원까지 치솟았는데, 지난 9일 같은 종류 매물이 12억 3750만 원에 거래된 겁니다.<br> <br>인근 다른 아파트의 34평 전세 매물도 지난 5월 23억 원에서 이번 달 14억 5천만 원으로 8억 5천만 원 떨어졌습니다. <br> <br>실제로 지난 10월 전국 아파트 전세가격지수는 1.36% 떨어졌는데, 2008년 12월 이후 13년 10개월 만의 최대 폭 감소입니다.<br> <br>전셋값이 이렇게 내려간 건 기준금리가 오르면서 전세대출금리까지 치솟았기 때문.<br><br>비싼 대출 이자를 내느니 월세나 반전세를 택한 임차인들이 늘면서, 전세 매물은 쌓이게 되고 가격은 계속 내려가는 겁니다.<br> <br>발등에 불이 떨어진 건 집주인들입니다. <br> <br>[구본주 / 서울 서초구 부동산중개업자] <br>"거의 4~5년 전 가격이에요. 다른 데(아파트)다 전세금을 집주인 입장에서는 내줘야 되니까. 어쩔 수 없이 눈물을 머금고 (전세보증금을 내린 거죠)…." <br> <br>전문가들은 금리 인상 기조에 따라 내년 상반기까지 이런 현상이 지속 될 거라고 전망합니다. <br> <br>[권대중 / 명지대 부동산학과 교수] <br>"금리가 올라가면 지속 될 겁니다. 내년 상반기에도 미분양 물량이 지속적으로 늘어날 텐데. 전·월세 가격을 낮추면 기존의 전·월세 가격이 또 하락하는 현상이 나타나거든요." <br><br>억 단위로 요동치는 전세 시장에 집주인들의 시름도 깊어지고 있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승희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 : 박찬기 <br>영상편집 : 변은민<br /><br /><br />김승희 기자 sooni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