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가 우리 사회와 경제에 미친 영향을 가늠해볼 수 있는 지표가 발표됐습니다. <br /> <br />실업과 우울증 등이 늘었는데 상대적으로 여성의 증가 폭이 더 컸습니다. <br /> <br />김평정 기자입니다. <br /> <br />[기자] <br /> <br />코로나19로 인한 경제적 타격은 여성에게 상대적으로 더 컸던 사실이 수치로 확인됐습니다. <br /> <br />실업급여 수급자 수를 비교해봤더니 코로나19 유행 이전에는 남녀 비율이 비슷했는데 유행 이후에는 여성이 남성보다 많은 흐름이 뚜렷해졌습니다. <br /> <br />여성 실업의 증가는 비대면 수업 등으로 자녀를 돌보는 시간이 늘어난 것이 영향을 끼친 것으로 분석됩니다. <br /> <br />우울증 치료를 받는 환자도 비슷한 경향을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코로나19 유행 이전에도 여성이 더 많이 우울증 진료를 받긴 했지만, 유행 이후에 상대적으로 더 가파른 증가세를 보였습니다. <br /> <br />소비지출은 사회적 거리두기의 강도에 큰 영향을 받았습니다. <br /> <br />거리두기 조치가 강화될 때마다 신용카드 이용금액이 감소 추세를 보였지만 거리두기가 해제된 이후에는 소비금액이 일정한 수준을 유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거리두기 해제와 함께 코로나19에 대한 위험 인식도가 최근 낮아진 것도 소비심리 회복에 영향을 준 것으로 보입니다. <br /> <br />[홍석철 / 국가감염병위기대응자문위원회 사회경제분과위원 (서울대 경제학부 교수) : 2022년 초에 거리두기 해제된 이후에 여름에 있었던 6차 유행에서는 이런 지출 감소가 크게 떨어지지 않는 것을 볼 수가 있는데요. 이것은 거리두기 해제의 영향이기도 하고 국민들이 코로나19에 대한 위험인식이 변한 그런 결과라고 생각합니다.] <br /> <br />의료 이용 건수는 코로나19 유행 이후에 16% 줄었고 응급실 이용 건수는 26% 감소했습니다. <br /> <br />기저질환자와 고령층이 코로나19 감염 우려 때문에 적기에 진료받지 못하는 경우가 많아진 것으로 해석됩니다. <br /> <br />10가지 지표를 발표한 국가감염병자문위는 앞으로도 감염병 유행의 사회경제적 파급 영향을 평가해 방역 정책에 반영해야 한다고 강조했습니다. <br /> <br />YTN 김평정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 <br /><br /><br />YTN 김평정 (pyung@ytn.co.kr)<br /><br />※ '당신의 제보가 뉴스가 됩니다' <br />[카카오톡] YTN 검색해 채널 추가 <br />[전화] 02-398-8585 <br />[메일] social@ytn.co.kr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1281843110067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