지난달 29일, 핼러윈 축제를 즐기려던 시민들이 목숨을 잃은 이태원 참사가 발생한 지 한 달이 됐습니다. <br /> <br />추모하려는 시민들의 발길만 이어지며, 사고 당시의 흔적이 아직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장에 취재기자 나가 있습니다. 윤성훈 기자! <br /> <br />참사가 발생한 지 어느덧 한 달, 현장엔 여전히 아픔의 흔적이 남아 있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제가 나와 있는 곳은 158명이 목숨을 잃은 현장입니다. <br /> <br />참사 이후 경찰 통제선이 설치돼 통행이 제한됐었는데요. <br /> <br />지난 11일, 2주 만에 경찰 통제선이 해제되면서 지금은 이동할 수 있게 됐습니다. <br /> <br />그러나 인적은 드문 모습인데요, <br /> <br />그래도 추모하려는 시민들의 발길은 간혹 이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추모객 이야기 직접 들어보시겠습니다. <br /> <br />[장영철 / 대전 유성구 : 마음이 아프고 내 아들, 딸과 같은 사람들이 억울하게 죽어서.] <br /> <br />또, 아직 참사 당시의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간판 구조물에 머리카락이 끼여 있는 것도 발견할 수 있는데, 한 시민은 참사의 현장을 보여주는 거라는 메모를 남기고 고인의 명복을 빌었습니다. <br /> <br />참사가 일어난 골목은 보시는 것처럼 매우 좁고 깁니다. <br /> <br />또, 조금 오르다 보면 골목이 매우 경사져 있는 것도 볼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골목 자체의 특성 탓에 사고 위험성이 큽니다. <br /> <br />그런 데다, 참사 당일 수많은 인파가 이곳에 몰렸습니다. <br /> <br />골목을 오르내리려는 사람들이 맞물려 참사로 이어졌습니다. <br /> <br />골목 위편의 세계음식거리도 골목이 넓진 않습니다. <br /> <br />그런데 골목을 더 비좁게 한 건 해밀톤호텔 불법 건축물이었습니다. <br /> <br />현재는 철거돼 용접 흔적이 남아 있습니다. <br /> <br />사전에도 충분히 조치할 수 있었다는 의미입니다. <br /> <br />일방통행과 불법 건축물 등에 대한 조치가 미리 이뤄졌다면 참사를 막을 수 있진 않았을까 아쉬움이 남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책임 소재를 가리기 위한 경찰의 수사 상황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경찰청 특별수사본부는 박희영 서울 용산구청장을 불러 조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어제도 소환됐던 박 구청장은 이번이 세 번째 조사입니다. <br /> <br />또, 조금 전엔 용산소방서 현장지휘팀장도 조사를 받기 위해 특수본에 도착했습니다. <br /> <br />앞서 특수본은 이임재 전 용산경찰서장, 류미진 전 서울경찰청 상황 관리관, 최성범 용산소방서장 등 주요 피의자에 대한 2차 조사를 진행했는데요. <br /> <br />보강 조사를 마친 뒤 이번 주 주... (중략)<br /><br />YTN 윤성훈 (ysh02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1291410509489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