백지·방정식·반어…검열·단속 피하는 중국 시위대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중국에서 확산하는 시위는 일반적인 시위와 다른 양상으로 전개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백지나 수학 방정식을 적은 종이를 손에 들고 시위를 벌이는 게 눈에 띕니다. 당국의 체포와 검열을 피하기 위해 시위 현장에 방정식까지 등장한 겁니다.<br /><br />한미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신장 우루무치 아파트 화재 사건을 계기로 폭발한 중국의 제로 코로나 반대 시위에 나선 사람들이 아무것도 쓰여있지 않은 흰 종이를 들고 있습니다.<br /><br />2020년 홍콩의 국가보안법 반대 시위 때와 같은 방식입니다.<br /><br />소셜미디어에서는 '백지혁명', 'A4혁명' 등의 해시태그와 함께 지지가 확산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칭화대 학생들이 손에 든 백지에는 방정식이 적혀 있습니다.<br /><br />우주의 팽창 원리를 설명하는 프리드만 방정식인데, 중국 곳곳에서 확산하는 시위가 우주의 팽창처럼 더 퍼져 나갈 것이라는 의미가 담겼다는 해석이 나왔습니다.<br /><br />홍콩의 민주화 운동가 네이선 로는 프리드만의 발음이 자유를 뜻하는 FREE와 인간을 뜻하는 MAN, 즉 '자유인'과 비슷하다며 "지능적으로 표현하는 창의적인 방법"이라고 평하기도 했습니다.<br /><br />봉쇄에 반대하는 사람들은 반어법을 사용해 '그렇다', '좋다' 같은 긍정을 표현하는 단어로 게시물을 빼곡히 채우기도 합니다.<br /><br />시위대의 이런 대처는 현장에서 공안에 즉각 체포되거나, '만리방화벽'으로 불리는 인터넷 검열 시스템에 대항하기 위한 겁니다.<br /><br />검열을 우회한 게시물들에서는 시진핑 국가주석을 상징하는 곰돌이 푸나 톈안먼 민주화 운동을 상징하는 이미지를 활용한 풍자와 비판도 눈에 띕니다.<br /><br />1989년 톈안먼 시위 이후 30여년 만에 정부에 항의하는 목소리가 전국에서 터져 나오는 가운데 미국 등 서방 국가들과 유엔은 중국 정부를 비판하며 절제된 대응을 촉구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 한미희입니다.<br /><br />#백지시위 #톈안먼 #제로_코로나 #반대시위 #만리방화벽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