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미국 영부인들은 매해 연말 백악관에 크리스마스 장식을 하며 대국민 메시지를 냅니다. <br> <br>올해 질 바이든 여사는 통합을 염원하며 하나 된 미국을 강조하는 장식을 선보였는데요. <br> <br>워싱턴 유승진 특파원이 백악관 내부를 직접 들어가봤습니다.<br><br>[기자]<br> 악단 연주에 맞춰 백악관의 동관, 이스트 윙으로 입장하니 형형색색 눈부신 장식들이 취재진을 반깁니다. <br> <br> 재클린 케네디 여사 때부터 이어진 연말 전통으로, 영부인이 크리스마스 장식으로 백악관을 꾸민 겁니다. <br><br>코로나19가 극심했던 지난해와 달리, 올해는 상대적으로 덜 무거운 분위기 속에 취재진을 초청해 장식을 공개했습니다.<br> <br> 영부인들은 매년 테마를 선정해 대국민 메시지를 내는데, 올해 질 바이든 여사가 내건 테마는 '우리 국민'입니다. <br> <br> 미국 헌법 서문의 첫 문장으로, 통합의 의미를 담아 지난 대선과 중간선거 과정에서 분열된 민심을 겨냥한 것으로 풀이됩니다. <br><br> 특히 대통령이 거주하는 중앙 관저 건물의 천장까지 꽉 채운 대형 트리에는 미국 50개 주의 이름을 딴 새 모형을 장식해 하나 된 나라를 표현했습니다. <br> <br>[질 바이든 / 미국 영부인] <br> "미국은 뭉치면 더 강해집니다. 우리를 하나로 엮는 가치들은 곳곳에 있습니다. 가능성에 대한 믿음, 낙관주의 그리고 통합입니다." <br><br> 4년 전, 트럼프 전 대통령의 부인 멜라니아 여사가 파격적인 붉은색 트리로 뒤덮어 각종 패러디로 이어졌던 이스트 윙 복도.<br> <br> 이번엔 평화를 상징하는 겨울 나무가 들어섰고, 백악관에서 연말을 보내는 역대 대통령들의 사진도 걸렸습니다. <br><br>이곳은 백악관 이스트룸입니다. <br><br>이번 장식을 위해 이런 트리가 백악관 전체에 무려 77개 설치됐습니다.<br> <br> 이번 장식은 대중에게도 공개되는데, 백악관은 5만여 명의 방문객이 다녀갈 것으로 예상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 이같은 질 바이든 여사의 내조가 국정운영에 어떤 영향을 미칠지도 주목됩니다. <br><br>바이든 대통령은 한 해를 마무리하며 남은 임기 절반을 어떻게 보낼지 정국 구상에 집중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 특히 차기 대선 출마 여부도 조만간 결정하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 워싱턴에서 채널A 뉴스 유승진입니다.<br><br> 영상취재 : 정명환(VJ) <br> 영상편집 : 차태윤<br /><br /><br />유승진 기자 promotion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