서울 지하철을 운영하는 서울교통공사 노동조합이 오늘(30일) 총파업에 들어가면서 퇴근길 지하철에서 혼잡이 빚어지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1호선부터 8호선까지 모두 운행률이 평상시보다 떨어졌는데, 오늘 저녁 7시 추가 교섭 결과에 따라 파업 지속 여부가 결정될 전망입니다. <br /> <br />현장 취재기자 연결해 자세한 상황 알아보겠습니다. 김근우 기자!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에 나와 있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퇴근 시간 지하철 상황은 어떻습니까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퇴근하는 직장인들이 몰리며 승객이 점점 늘어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특히 환승객이 많은 이곳 신도림역은 파업 여파로 배차간격이 평소보다 길어지면서 혼잡도가 더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교통공사는 퇴근 시간인 오늘 저녁 6시부터 8시까지는 운행률을 평상시의 85% 수준으로 유지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배차 간격이 1분에서 2분 늘어나는 거지만, 그 정도로도 인파가 몰리는 퇴근 시간에는 혼잡도가 크게 높아질 수 있습니다. <br /> <br />서울교통공사는 앞서 오늘 출근 시간대인 오전 7시부터 9시까지는 대체 인력을 집중적으로 투입해서 운행률을 평상시와 같은 수준으로 유지했습니다. <br /> <br />그래서 심각한 운행 지연이나 큰 혼잡이 발생하지는 않았습니다. <br /> <br />일부 역에서는 열차가 지연되기도 했지만 서울교통공사 노조 파업보다는 철도노조의 준법 투쟁 여파였습니다. <br /> <br />하지만 낮 시간대부터는 운행률이 평소의 72% 수준으로 낮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배차 간격이 길어지면서 승객들이 승강장에서 기다리는 시간이 길어졌고 자연스럽게 체감 혼잡도도 높아졌습니다. <br /> <br /> <br />노사는 지금 다시 본교섭에 들어갔다고요? <br /> <br />[기자] <br />네, 서울교통공사 노사는 오늘 저녁 7시부터 협상 테이블에 마주앉았습니다. <br /> <br />공사 측에서 본교섭 재개를 요청했고 노조에서 이를 받아들인 건데요. <br /> <br />가장 큰 쟁점인 인력 감축 계획을 둘러싸고 노사가 어떤 합의점을 찾느냐가 관건입니다. <br /> <br />공사 측은 재정난을 이유로 오는 2026년까지 천5백여 명의 인력을 줄이겠다고 밝혔는데 노조는 안전사고를 막으려면 오히려 인력을 늘려야 한다고 요구하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진행 중인 교섭에서 양측이 입장 차를 좁히고 파업이 첫날 마무리될지, 아니면 더 길어질지 결정되는 만큼 결과에 관심이 모이고 있습니다. <br /> <br />지금까지 서울 지하철 2호선 신도림역에서 YTN 김근우입니다. <br /> <br /> <br />※ '당신의 제보... (중략)<br /><br />YTN 김근우 (gnukim0526@ytn.co.kr)<br /><br />▶ 기사 원문 : https://www.ytn.co.kr/_ln/0103_202211301916269104<br />▶ 제보 안내 : http://goo.gl/gEvsAL, 모바일앱, social@ytn.co.kr, #2424<br /><br />▣ YTN 데일리모션 채널 구독 : http://goo.gl/oXJWJs<br /><br />[ 한국 뉴스 채널 와이티엔 / Korea News Channel YTN ]