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정부와 화물연대의 2차 교섭도 40분 만에 결렬됐습니다. <br> <br>정부는 찾아다니며 업무개시명령서를 운송 거부자에게 전달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대통령실은 단호합니다.<br> <br>불법 파업에 타협은 없다고요.<br> <br>파업을 장기화할 경우 안전운임제를 전면 폐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최승연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서울 서초동의 시멘트 운송업체. <br> <br>원희룡 국토교통부 장관과 직원들이 사무실로 들어섭니다. <br> <br>업무개시 명령서를 송달하기 위해 현장 조사에 나선 겁니다. <br> <br>[원희룡 / 국토교통부 장관] <br>"지금도 배차가 돼 있는 상태인가요? (배차 지시를 카톡으로…파업 이후도 기사님들이 운송 거부를 하고.)" <br> <br>원 장관은 파업에 참여 중인 화물차 기사에게 전화를 걸어, 현장 복귀를 요청했습니다. <br> <br>[원희룡/ 국토교통부 장관] <br>"저희가 명령 전달할 거기 때문에 전달 받으시면 바로 복귀해야 돼요. 내일 복귀하셔야 하고요." <br> <br>정부는 명령서 송달을 위해, 시멘트 운송업체 201곳과 화물차 기사 2500명에 대한 현장조사를 벌이고 있습니다. <br><br>국토교통부에 따르면 오늘 오전까지 명령서가 송달된 운송업체는 15곳, 화물차 기사는 350명입니다. <br><br>정부는 송달을 회피할 경우 강력 처벌하겠다는 방침입니다. <br> <br>화물연대의 계속된 운송거부에 단호하게 대응하겠다는 입장도 재차 밝혔습니다. <br><br>대통령실 관계자는 "안전운임제 3년 연장안을 접고, 아예 폐지하는 방안도 검토하고 있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경찰은 복귀한 조합원이 보복당할 우려가 있는 경우, 스마트워치를 지급하는 등 안전조치도 강화할 방침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최승연입니다.<br> <br>영상취재: 김명철 최혁철 <br>영상편집: 김민정<br /><br /><br />최승연 기자 suung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