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문재인 정권을 조여오는 검찰 수사가 이 뿐 만이 아니죠.<br><br>월성 원전 경제성 평가 조작 의혹 수사도 칼끝이 문재인 청와대를 정면으로 향하고 있는데요. <br> <br>당시 김수현 청와대 사회수석과 문미옥 과학기술보좌관을 압수수색했습니다. <br> <br>이은후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대전지검 수사팀이 김수현 전 사회수석비서관과 문미옥 전 과학기술보좌관을 상대로 압수수색에 나선 건 지난달 25일. <br> <br>김 전 수석이 교수로 재직 중인 대학 사무실과, 문 전 보좌관의 과학기술정책연구원 사무실이 압수수색 범위에 포함됐습니다. <br> <br>김 전 수석은 문재인 정부 청와대에서 탈원전 정책 컨트롤타워였던 에너지전환 태스크포스의 팀장을 맡았습니다. <br> <br>문 전 보좌관은 지난 2018년 "월성 1호기 외벽에 철근이 노출됐다"는 보고를 청와대 내부망에 올렸던 인물입니다. <br><br>당시 문재인 대통령이 "영구 가동 중단은 언제 결정할 계획인가"라고 댓글을 달았는데, 이를 계기로 월성원전 1호기 조기 폐쇄가 진행됐다는 게 검찰의 판단입니다.<br> <br>문재인 정부 시절인 지난해 6월 대전지검은 백운규 전 산업자원부 장관과 채희봉 전 산업정책비서관 등을 재판에 넘겼습니다. <br> <br>정권이 바뀐 뒤 대전지검은 새 수사팀을 꾸리고 대통령기록관을 압수수색한 데 이어, 백 전 장관에게 배임 교사 혐의를 추가했습니다. <br> <br>이렇게 되면 원전 조기 폐쇄 손실에 대해 정부가 법적 책임을 물을 가능성도 있습니다. <br> <br>백 전 장관은 청와대 윗선의 관여를 부인해 왔습니다. <br> <br>[백운규 / 전 산업부 장관(지난 7월)] <br>"(원전 조기폐쇄 지시받으신 건가요?) …" <br> <br>법조계에선 김 전 수석 등에 대한 수사 결과에 따라 탈원전 정책을 총괄한 장하성 전 정책실장도 수사선상에 오를 수 있다는 관측이 나옵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이은후입니다. <br><br>영상편집 : 이혜리<br /><br /><br />이은후 기자 elephant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