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내일부터 파업이 예고된 철도노조는 서울 지하철 1, 3, 4호선도 맡고 있습니다.<br> <br>또 출퇴근 대란이 벌어질 수 있죠. <br> <br>어제 퇴근길 생각하면요.<br> <br>지하철 파업 여파로 압사당할 것 같다는 신고가 들어올 정도로 엄청난 인파가 몰렸습니다. <br> <br>김예지 기자입니다. <br><br>[기자]<br>역 안으로 내려오는 계단까지 사람들이 빽빽하게 들어찼습니다. <br> <br>지하철 파업으로 퇴근길 지하철 열차 운행이 지연되면서 역사 안은 퇴근길 시민들로 가득 찼습니다. <br> <br>어제 오후 7시 기준 2호선은 최대 33분, 3호선 28분 지연됐습니다. <br> <br>버스정거장은 지하철 탑승을 포기하고 온 시민들로 붐볐습니다. <br> <br>SNS에는 이태원 참사와 같은 압사 사고가 나는 것 아니냐는 우려의 글들이 올려왔습니다. <br> <br>[지하철 3호선 이용 승객]<br>"사람들끼리 꽉 끼어가지고 소지품을 간수하고 핸드폰 보는 것도 좀 버거울 정도로." <br> <br>[지하철 2호선 이용 승객] <br>"계속 낑겨 가지고 기다리고 있는데 이러다가 진짜 무슨 사고 나는 거 아니냐 이런 걱정도 좀 들고." <br> <br>오후 5시부터 10시까지 '지하철에 사람이 너무 많다'는 내용의 119 신고가 7건 접수돼 소방이 출동하기도 했습니다. <br> <br>이태원 참사로 안전사고에 대한 경각심이 높아진 상황에서 파업은 하루 만에 끝났습니다. <br> <br>서울교통공사가 강제적 구조조정을 하지 않고, 안전 인력을 충원하라는 노조의 요구를 일부 수용하면서 자정쯤 극적으로 합의한 겁니다. <br> <br>서울 지하철은 오늘 첫차부터 정상운행됐지만, 내일부터 일부 지연 운행이 재연될 수 있습니다. <br> <br>서울 1,3, 4호선, 경인선 등을 함께 운영하는 전국철도노동조합이 내일 총파업에 들어가면 철도가 운영하는 노선의 출퇴근대 운행률이 80%대로 떨어질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예지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: 장명석 <br>영상편집 : 차태윤