코로나19 세 번째 겨울, 이번이 마지막? [탐사보도 뉴스프리즘]<br /><br />[오프닝: 이윤지 아나운서]<br /><br />시민의 눈높이에서 질문하고, 한국 사회에 화두를 던지며, 더 나은 내일을 만들어 가는 시작합니다! 이번 주 이 주목한 이슈, 함께 보시죠.<br /><br />[영상구성]<br /><br />[이윤지 아나운서]<br /><br />코로나19 사태가 시작된 지 벌써 3년이 다 돼갑니다. 7번의 유행을 겪으면서 방역조치가 이제 많이 완화됐습니다. 과학적으로 실외에선 감염 가능성이 낮은 것을 감안해 이제 밖에서는 마스크를 쓰지 않아도 됩니다.<br /><br />그러나, 겨울철을 앞두고 코로나는 다시 확산하고 있습니다. 한 차례 감염을 겪었더라도 시간이 지나 면역력이 떨어지면서 재감염의 가능성이 커졌습니다.<br /><br />최근 우리나라의 인구 대비 코로나 확진자 수는 전세계적으로 가장 높은 수준입니다. 그런데도 사회 전체적으로 낮아진 경각심에 방역에 대한 긴장감은 올라가지 않습니다.<br /><br />겨울철 재유행이 끝나면 어떻게 될까요. 그리고 높아지는 방역 피로감은 어떤 상황인지 살피겠습니다.<br /><br />남은 방역조치 해제 여부는 앞으로 유행이 어떻게 진행될지에 달려있는데요.<br /><br />먼저 차승은 기자가 살펴봤습니다.<br /><br />[7번째 유행 맞은 한국…내년 봄엔 실내 마스크 해제? / 차승은 기자]<br /><br />재작년 1월 20일, 중국 우한에서 입국한 35세 중국인 여성이 코로나19 확진 판정을 받았습니다.<br /><br />국내 코로나19 확산의 시작이었습니다.<br /><br />이후 바이러스가 급속도로 퍼지고, 해외에서 신규 변이가 잇따라 유입되면서 유행은 지난 여름까지 여섯 번 반복됐습니다.<br /><br /> "그 결과 현재 인구의 절반 정도가 코로나에 걸렸고, 3만 명 이상이 코로나로 사망했습니다."<br /><br />현재 일곱 번째 재유행이 진행 중이지만 그간 감염과 백신 접종으로 얻은 면역 덕에 확산세는 예전같지 않습니다.<br /><br />지난 여름 6차 재유행 때는 확진자 수가 일주일 새 2배로 늘어나는 '더블링 현상'이 나타났지만,<br /><br />이번 7차 재유행은 방역당국의 공식 선언 20여 일이 지났음에도 일평균 확진자가 5만 명 안팎을 유지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유행 곡선이 완만한 우하향 곡선을 그리면서, 방역정책도 확진자 억제에서 고위험군 중증화 방지로 선회했습니다.<br /><br />이에 따라 방역조치도 서서히 풀리고 있습니다.<br /><br />4월엔 사회적 거리두기가 도입 2년 만에 해제됐고, 9월엔 경기장이나 실외 공연장, 집회 현장에서도 실외 마스크를 벗게 됐습니다.<br /><br />입국 후 PCR 검사 의무도 사라졌고, 요양병원과 요양시설 대면 면회도 재개됐습니다.<br /><br />이제 남은 방역조치는 실내 마스크 의무와 확진자 7일 격리 정도.<br /><br />방역의 최후 보루인 확진자 7일 격리는 몰라도, 실내 마스크 착용 의무는 겨울철 재유행이 끝나면 해제 검토가 가능할 것이란 게 방역 당국 판단입니다.<br /><br /> "여러분, 한 3개월만 참으시면 실내 마스크에 대해서는 크게 그렇게 스트레스를 안 받으셔도 될 거다, 그런 말씀드립니다."<br /><br />전문가들도 올 겨울을 마지막 고비로 보고, 이대로라면 실내 마스크 해제도 가능하다는 데 큰 이견이 없습니다.<br /><br />하지만, 계속 출현하는 신규 변이는 여전히 변수입니다.<br /><br /> "인도라든지 남아공, 미국 이런 데서도 (변이가) 나오고 있기 때문에 계속 출연하는 한은 유행이 좀 더 길어질 수 있다…"<br /><br /> "우세종인 BA.5 비중은 점점 낮아지고 있는 가운데<br /><br />BN.1과 BQ.1.1, BF.7 등 몸집을 키우고 있는 신규 변이가 또 다른 유행을 주도할지 주목됩니다. 연합뉴스TV 차승은입니다."<br /><br />[이윤지 아나운서]<br /><br />지난 3년 동안 전 세계 코로나19 누적 확진자는 6억3천만명을 넘어섰습니다.<br /><br />사태 초반의 공포는 수 차례 유행의 파고를 넘고 백신과 치료제가 개발되면서 잦아들었습니다. 하지만 긴장도 함께 풀어졌습니다.<br /><br />유례 없이 길어진 전염병과의 싸움에서 마지막까지 지켜야 할 보루는 백신이라고 전문가들은 강조합니다.<br /><br />한미희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코로나 3년 660만명 사망…"마지막 보루는 백신" / 한미희 기자]<br /><br />2019년 12월 31일, 중국 우한에서 정체 불명의 바이러스성 폐렴이 처음 보고되고 한 달 뒤, 세계보건기구 WHO는 국제적 공중보건 비상사태를 선포했습니다.<br /><br />전 세계 121개 나라에서 12만여명이 확진되고 4천여 명이 숨진 2020년 3월에는 코로나19의 세계적 대유행, 팬데믹을 선언했습니다.<br /><br />약 1년 만에 백신이 개발됐지만 확산과 봉쇄, 완화, 재확산의 악순환이 반복되는 동안 누적 확진자는 6억3천만명, 사망자는 660만명을 넘었습니다.<br /><br />전세계가 함께 겪는 미증유의 위기 속에서 사람과 물류의 이동이 멈췄습니다.<br /><br />대유행 3년 차인 올해 들어서야 많은 나라에서 방역 조치가 완화되고 국경의 빗장이 풀리기 시작했습니다.<br /><br />최초 발생지이자 가장 강력한 방역 정책을 폈던 중국에서는 최근 다시 심상치 않은 확산세를 겪었습니다.<br /><br />지난달 중국 본토의 신규 감염자가 3년 만에 역대 최고를 기록한 겁니다.<br /><br />여기에 신장 우루무치의 아파트 화재 현장에서 많은 사상자가 나온 것이 강력한 봉쇄 정책 탓이었다는 인식이 퍼지면서 전국 곳곳에서 봉쇄 반대 시위가 터져 나왔습니다.<br /><br />인류가 근래에 겪어본 적 없는 대유행은 가장 기본적인 생명과 안전의 기반을 뒤흔들었습니다.<br /><br />의료 체계에 과부하가 걸리면서 전 세계 아동 4천만명이 홍역 백신을 접종하지 못했고, 결핵으로 인한 사망자 역시 2년 연속 증가했습니다.<br /><br />코로나 이후 세 번째 겨울을 앞두고 WHO는 비상사태를 해제하는 것은 시기상조라며 같은 경계 수준을 유지하기로 했습니다.<br /><br />바이러스는 끊임없이 진화하고 있고, 여전히 상당한 규모의 사망자가 나오고 있기 때문입니다.<br /><br />54년 동안 미국 보건 의료의 최전선에서 일생을 바친 앤서니 파우치 소장은 퇴임을 앞두고 한 마지막 브리핑에서 백신 접종의 필요성을 다시 한번 강조했습니다.<br /><br /> "이 자리에서 드리는 저의 마지막 메시지는, 부디, 자격이 되는 즉시 최신 백신을 맞으라는 겁니다. 여러분 자신과 가족...