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윤석열 정부는 물러설 기미가 없어보입니다. <br> <br>오늘 운송거부자에 대한 2차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했습니다. <br> <br>시멘트 외에 철강과 석유화학 분야까지 확대한 거죠. <br> <br>화물연대 일부 조합원들은 "시작부터 잘못됐다"며 속속 현장으로 복귀하고 있습니다. <br> <br>이어서 공국진 기자입니다.<br><br>[기자]<br>정부가 철강·석유화학 분야에 업무개시명령을 발동했습니다. <br> <br>철강 6천 명, 석유화학 4천 5백 명 등 1만 명이 대상입니다.<br> <br>지난달 29일 시멘트 분야에 이어 9일 만입니다. <br> <br>[한덕수 / 국무총리] <br>"철강, 석유화학 제품의 출하 차질은 곧 자동차, 조선, 반도체 등 핵심 전방산업으로 확대돼 우리 경제 전반의 위기로 확산될 우려가 있습니다." <br> <br>명령서를 받은 차주는 다음날 자정까지 업무에 복귀해야 하고 어기면 운행정지 같은 행정처분은 물론 형사 처벌도 받을 수 있습니다. <br> <br>수출 물량이 평시 대비 25% 수준에 그쳤던 석유화학 공단엔 정부 발표 이후 현장에 복귀한 화물차가 크게 늘었습니다. <br> <br>[여수 석유화학 공장 직원] <br>"옛날 (파업하기) 전만큼, 많이 들어왔지요. 오늘 갑자기 많이 차들이 많이 들어왔어요." <br> <br>[석유화학 업체 관계자] <br>"당장 급한 것은 물량이 가득 차 있으니까 어떻게 처리하느냐가 가장 관건인데, 내부적으로도 못 움직였거든요." <br><br>철강제품을 보관할 공간이 부족해 생산 중단까지 거론됐던 철강업체들에도 숨통이 트이고 있습니다. <br> <br>조합원들 사이에선 파업이 처음부터 잘못된 것 아니냐는 불만도 나옵니다. <br> <br>[화물연대 조합원] <br>"분위기 안 좋지요. (정부가 강경하게 나온) 그런 거도 있고 (이번 파업) 자체가 잘못됐어요. 원래는." <br> <br>민노총은 이번 업무개시명령에 맞서 오는 14일 2차 총파업을 벌이겠다고 밝혔지만, 화물연대의 투쟁대오가 크게 흔들리는 상황에서 얼마나 응집력이 있을 지는 미지수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공국진입니다. <br><br>영상취재 : 김현승 이기현 <br>영상편집 : 조성빈<br /><br /><br />공국진 기자 kh247@ichannela.com