신분 위장한 북한 IT인력 주의보…국내 일감 수주 시도도<br /><br />[앵커]<br /><br />북한이 국제사회의 대북제재로 돈줄이 사실상 막히자 사이버 공간으로 눈을 돌려 외화벌이를 하고 있습니다.<br /><br />이렇게 벌어들인 돈 대부분은 핵과 미사일 개발에 쓰이고 있는데요.<br /><br />북한 IT 인력들이 신분을 위조해 우리 기업을 노릴 가능성이 나오자 정부가 합동주의보를 발표했습니다.<br /><br />신현정 기자입니다.<br /><br />[기자]<br /><br />어색한 한국어로 자신을 소개하며 일감을 구하는 미국 국적의 소프트웨어 개발자.<br /><br />프리랜서 개발자 중개 사이트에 게시된 소개글인데, 작성자는 신분을 위장한 북한 해커로 추정됩니다.<br /><br />대북제재 수위가 높아지면서 북한은 해킹을 하거나 가상화폐를 탈취해 외화 벌이에 적극 나서고 있습니다.<br /><br />해외 기업뿐만 아니라 국내 기업도 타깃이 됐다는 경고까지 나옵니다.<br /><br /> "사행성 도박 (사이트)를 개발하려고 했던 국내인이 외국인인 줄 알고 북한 공작원에게 의뢰했던 사례가 포착된 바 있고요. 우리나라 사이버 안보 측면에서도 굉장히 위험할 수 있겠다…."<br /><br />북한의 IT 인력이 매년 벌어들이는 수익도 수억달러에 달하는 것으로 추산되는데 이런 자금의 상당액이 핵과 미사일 개발에 쓰이고 있다는 게 우리 정부 판단입니다.<br /><br />우리 안보와도 직결된 만큼 관계부처들은 북한 IT 인력에 합동 주의보를 발표했습니다. 국제사회에선 미국에 이어 두 번째입니다.<br /><br /> "구인·구직 플랫폼상 본인인증 절차 등을 선제적으로 점검했습니다. 그 결과 북한 IT 인력들이 신분을 위조하여 국내 기업을 대상으로 일감을 수주하는 것이 가능하다고 판단…."<br /><br />북한 해커들은 SNS를 통해 신분확인 절차 등을 대신해 줄 계정대리인을 구해 일감을 수주하려는 경향을 보였습니다.<br /><br />또한 화상면접보다는 온라인 채팅으로 소통하고, 하루 종일 실시간 접속 중이라는 특징이 있습니다.<br /><br />정부는 북한 인력과 용역을 주고받는 행위는 남북교류협력법 등에 따라 3년 이하의 징역이나 3,000만원 이하의 벌금에 처해질 수 있다며 각별한 주의를 당부했습니다.<br /><br />연합뉴스TV 신현정입니다. (hyunspirit@yna.co.kr)<br /><br />#북한 #IT인력 #신분위장<br /><br />연합뉴스TV 기사문의 및 제보 : 카톡/라인 jebo23<br /><br />(끝)<br /><br />