<p></p><br /><br />[앵커]<br>불법 파업과는 타협이 없다고 외쳐온 대통령, 화물연대가 복귀 했더라도 불법 파업으로 경제에 입힌 손실을 그냥 넘길 순 없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안전운임제 3년 연장안도 원점 재검토하고, 손해배상 청구도 검토 중입니다 김단비 기자 보도 보시고 아는기자로 이어갑니다. <br><br>[기자]<br>정부는 화물연대 파업으로 발생한 피해와 파업 중 벌어진 불법행위에 대해 분명한 책임을 묻겠다는 방침입니다.<br><br>[원희룡 / 국토교통부 장관] <br>“대한민국의 엄연한 법을 이렇게 대놓고 무시하고 짓밟고 이제 돌아갔다고 해서 그게 다 원위치다? 아무도 그렇게 생각하지 않습니다. 뿌리 박혀있는 악습, 잘못된 관행 이것을 어떻게 바로잡고.” <br> <br>파업은 끝났지만 작은 불법 행위도 그냥 넘기지 않겠다는 겁니다. <br> <br>국토부는 업무개시명령에 응하지 않은 화물차주에 대한 제재를 지속하겠다면서 허가 없이 차 번호판을 뗀 화물연대 집회 참가자 전원을 고발했습니다. <br> <br>정부나 공공기관에서 발주한 사업이 차질을 빚은 경우 손해배상을 청구하는 방안도 논의될 것으로 보입니다. <br> <br>대통령실도 법과 원칙을 강조했습니다. <br><br>[김은혜 / 대통령 홍보수석] <br>"지난 화물연대 집단운송거부는 우리 경제와 민생에 천문학적 피해줬습니다. 정부는 노사문제 관해서 흔들림없이 법과원칙 지켜나가며…" <br> <br>대통령실 핵심 관계자는 "파업이 끝난 후 미참여자나 조기복귀자에 불이익 주는 악습까지 모두 뿌리뽑겠다는 입장"이라고 전했습니다.<br> <br>정부는 안전운임제 3년 연장안도 원점 재검토 입장을 분명히 했습니다. <br> <br>원희룡 국토부 장관은 집단운송거부 전에 제안한 것이므로 "안전운임제 3년 연장 제안은 무효가 됐다"고 밝혔습니다.<br> <br>민주당은 오늘 국회 국토위 전체회의에서 안전운임제 연장안을 단독으로 처리했지만 국민의힘은 법사위에서 저지한다는 입장입니다. <br> <br>채널A 뉴스 김단비입니다. <br> <br>영상취재 한규성 <br>영상편집 김태균<br /><br /><br />김단비 기자 kubee08@ichannela.com